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30

김치통에 넣어둔 김치에 하얀 곰팡이가 생겼는데 이 김치를 먹어도 될까요

작년에 담아 놓은 김장김치를 김치통에 넣어 보관하였는데 위쪽에 하얀색 곰팡이가 생겼습니다. 김치가 다섯포기 정도 되어 너무 아까운데 나머지 김치는 먹어도 되는지 궁금하며, 먹을 수 있다면 어떻게 해서 먹어야 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쏭아나
    쏭아나22.12.04

    안녕하세요.

    김치 위에 핀 하얀색 막은 ''골마지'라고 하는데요. 골​마지​란 간장, 된장, 술, 식초, 김치 등 물기가 많은 음식물의 겉면에 생기는 흰색 막을 말합니다.


    김치에서는 주로 발효 후기에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발효시간이 오래될수록 김치 속 유산균의 활동이 줄어들고 공기(산소)와의 접촉이 많아지게 되면서 김치 표면에 골마지게 생기게 됩니다.


    김치에 낀 골마지를 흔히 곰팡이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곰팡이가 아닌 호기성 효모입니다. 또한 이 효모들을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독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효모는 알코올 및 향기성분을 생성하여 김치 풍미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김치를 오랫동안 저장할 경우 흰 막을 형성하여 김치의 외관을 손상시키고, 김치를 무르게 하는 연부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김치에 골마지가 낀 경우에는 생성 부위를 제거하고 물에 씻어서 가열하여 드셔도 무관하나, 골마지가 심하게 낀 경우에는 버리는 걸 권장합니다.


    골마지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김치 보관 시에 공기(산소)와 접하지 않도록 김치 국물에 잠기게 하거나 랩 또는 위생 비닐 등으로 김치용기의 윗부분을 밀착시킨 후 저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대빵마니입니다. 김치는 발효음식이라서 먹어도 됩니다만 곰팡이가 나있는곳만 제거하고 섭취를 하여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