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염증시 레진치료는 불가한가요?
치경부 마모증으로 레진치료를 받으려고 하는데 마침 잇몸이 좀 부었네요. 레진대상 치아가 아닌 잇몸이니 치료받으러 가도 상관이 없는지, 그래도 염증이 다 나은 이후에 가는게 맞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치경부 마모증이 있는 치아에 잇몸 염증과 그 부위가 부어있다면 상황에따라
그 부위에서 피가 잘 나고 마모부위를 가릴수 있어서 일반적으론 잇몸치료후에 잇몸이 좋아지면
마모부위를 수복해줍니다.
하지만 마모부위가 잘 보인다면 레진충전후 바로 잇몸치료를 같이 할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레진 치료 대상 치아는 레진 치료를 받으시면 되구요. 염증치료는 염증치료 따로 받으시면 됩니다.
만약 전체 스켈링을 하신다면 잇몸에서 피가 나게 되니 레진치료는 다음번으로 미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레진으로 치아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하는 부위에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잇몸에 염증이 있을경우에는 작은 자극에도 출혈이 되어 레진 충전에 방해가 될수 있기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잇몸에 염증을 없애고 충전하는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치과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재 치위생사입니다.
잇몸치료를 먼저 받고 상태가 호전되면 받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부어있는 잇몸은 살짝 건드려져도 피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레진치료는 치아에 화학처리를 하여 에나멜에 태그를 형성해서 치아와 레진의 결합도를 높이는데 피는 이 태그형성을 방해합니다.
단순히 집에서 잇몸이 낫기를 기다리지 마시고 치과에 내원하셔서 잇몸상태부터 검진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를 먼저 받으신 후 잇몸이 가라앉은 상태에서 레진 치료를 받으시는것이 치료의 순서상 옳은 상황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치과에 내원하셔서 문의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치경부 마모의 치료를 위해 레진치료가 예정된 경우, 해당 치아의 잇몸이 부어있는 상태라면 출혈이 발생하여 레진치료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잇몸염증부터 치료한 뒤에 레진치료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해당 치아가 아닌 다른 부위의 잇몸이 부은 경우라면 해당 치아의 레진치료를 하는 것에는 큰 상관이 없으며, 레진치료를 하면서 잇몸이 부은 부위도 정확한 검사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치경부 마모는 잇몸과 근접해 있기 때문에 치과방문해서 상담후 치료하면 됩니다.보통은 잇몸치료후 진행되는경우가 많지만 확인필요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경미할 경우에는 치경부 마모가 된 부위에 레진 치료를 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해당 부위에 출혈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거나 너무 많이 부어 레진 치료 시술 시 다량의 출혈이 예상된다면 이때는 잇몸 치료 이후에 레진 치료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또한 레진 치료시에는 수분 격리를 잘해야 오래 유지될 수 있는데 치료 도중 수분이 격리되지 못하고 출혈 등이 발생하여 레진 부위로 스며들게 되면 쉽게 떨어질 수 있는 만큼 잇몸 질환이 심하다면 잇몸치료 이후 레진 치료를 받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치경부마모증을 할때 잇몸이 부어있다면, 부종이 빠진뒤에 하는게 좋을 수 있습니다.
물론 못하는것은 아니나, 부종이 있으면 정확히 때우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