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자녀가 훈육을 받아들이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초등학교 4학년 여자아이입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훈육을 해야할 상황이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 아이가 훈육을 받아들이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초등학교 4학년 아이가 훈육을 받아들이지 않을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가 궁금한가봅니다.

    보통 이런 경우에는 아이가 부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소 아이와의 관계가 친밀해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게 어떨까 생각됩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관성있게 규칙을 유지하고 훈육의 이유를 설명하세요. 감정을 표현하며 대화하는 것이 이해를 돕는데 유효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자녀가 훈육을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는

    난 정말 잘못한 것이 없는데 왜 나를 혼내느냐 라는 감정이 크기 때문에 훈육을 하는 부모님의 입장을 전혀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부모님의 훈육에 대한 이해의 인지력이 부족해서 입니다.

    아이가 훈육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라고 한다면 단호함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지금 보인 행동이 옳지 않음은 단호하게 알려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준 후, 아이의 행동을 개선시켜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나아가 훈육을 하기 전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에 훈육을 진행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우선은 아이와 대화를 많이해보는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아이는 아이만의 생각이나 무언가 불만이 있어서 그럴수있습니다.

    이러한것에 대해서 우선은 소통을 늘리면서 점차적으로 알려주시는것이 필요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가 훈육을 받아들이지않는다면 아이가 훈육에대한 생각을 바꾸도록 대화를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이가 훈육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동의는 하지만 실천을 하지 않는 경우라면, 반복적으로 말하여 듣도록 지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반면에 아예 훈육에 동의하지 않고 반항하거나,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반발 등을 하는 경우라면 아이를 논리적으로 설득하여 듣도록 하는 게 좋아요. 도저히 말을 듣지 않는다면 어느 정도 권위를 이용하여 아이에게 듣도록 하는 방법이 있고 (그대신 더 반항할 가능성도 있으니 주의는 필요합니다.) 대안적인 제재 방법(좋아하는 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기 등)을 이용하여 아이가 지키도록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성향, 듣지 않는 훈육의 성격, 훈육이 논리적으로 타당한지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아이가 지키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계속하셔야죠

    아이에게이성적으로훈육하면 아이도알기에 안받아드리지않아요

    아이입장에서 훈육이아니라무언가감정의쓰레기통이나 퍼붓는것이라면 훈육이라느끼지않아그럴수도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