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치가 다시 색이 변할 수 있나요? 그 이유나 원인은 뭔가요
머리가 긴 편인데 요새 흰머리늘어서 속상했는데 보이는 몇가닥 긴 흰머리 뽑으니 뿌리부분 1센치정도 검정머리가 나더라고요.
그렇다고 검은콩이나 검은깨를 먹은것도아닌데 신기해서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새치가 나다가 영양상태나 호르몬 상태등이 변해서 호전되면 색소가 만들어져 뿌리쪽 색이 검어집니다
새치가 색이 다시 변할것 같지는 않네요. 흰 머리가 검은색 머리로 변했다기 보다는 머리카락 안에서 일부는 흰색으로 변하고 일부는 검은 머리인 경우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 여러 원인으로 멜라닌색소가 부족해서 흰머리가 생기는데, 특이하긴 하지만 부분적으로 그런 현상이 나타난 것 같네요
흰머리는 모발 색소 세포인 멜라닌 세포의 활동이 저하되면서 발생합니다. 뽑았던 흰머리의 뿌리 부분에 검은색 부분이 있었다는 것은, 해당 모발이 원래는 검은색이었으나 멜라닌 세포 활동 감소로 흰색으로 변해가는 과정에 있었음을 시사하는 소견입니다.
모발의 색소는 멜라닌 세포에서 시작해 모낭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옅어지게 되죠. 따라서 뿌리 부분에는 아직 색소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검은콩이나 검은깨를 먹은 것과는 관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모발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다만 흰머리 숫자가 점차 늘어나는 것은 나이 듦에 따른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영양 불균형, 스트레스 등에 의해 가속화될 수도 있습니다. 균형잡힌 식단,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될 거예요.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머리카락의 색은 모낭 속 멜라닌 세포가 생성하는 멜라닌에 의해 결정되며, 이 세포들이 활동을 멈추면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하게 됩니다. 그러나 특정 조건에서 멜라닌 세포가 다시 활성화되어 색소를 생산하게 되면, 하얀 머리카락이 다시 검은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흔하게 발생하는 ㅋ케이슨는 아닙니다.
보통 흰머리를 뽑으면 흰머리가 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다시 검은 머리가 날 확률이 극히 적기 때문에 같은 위치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선 검은콩이나 검은깨가 흰머리를 검정머리로 나게 해주는건 아닙니다. 낭설입니다.
유전적으로 젊어서부터 흰머리가 나는 경우에 스트레스를 받으면 흰머리가 더 심해지는데 스트레스가 줄면 검정머리가 다시 나기도 합니다. 스트레스가 혈액순환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드물게 갑상선질환, 당뇨병, 신장병같은 병적인 원인에 의해 흰머리가 나는 경우에 질환이 치료되면서 흰머리가 없어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