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약 투약시 발치는 못하나요?
이가 빠지려고해서 치과에 문의하니 투약하는 약이
있냐고하길래 골다공증약을 먹는다니 발치가 안된다
고 하네요. 왜그런지요. 발치가 안될까요?
많이 흔들리는데요.먹는것도 불편하고요.
방법은 없는지요?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골다공증약을 오래 복용할 경우 턱뼈의 괴사율이 높아집니다.
약 복용을 중단하고 발치가능성 있습니다.
복용기간과 상태에 따라 가능여부가 달라지니
대학병원 가셔서 확인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건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발치를 하고 나면 치조골이 아물어야 합니다.
골다공증약은 골을 파괴시키는 기능을 저하시키게 되는데 이는 골을 만드는 기능도 같이 저하시키게 됩니다.
발치후에 발치한 부위에 골이 형성이 잘 안되었을 경우에 드문확률로 골괴사증이 발생하는경우도 있어요.
골다공증약을 먹는 경우에는 발치는 최대한 안하고 치아가 탈락되기를 기다릴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공증약을 복용 중 발치를 하면 발치한 부위가 아물지 않고 발치한 부위 주위의 뼈가 괴사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다공증약(비스포스포네이프 계열의 약)을 약 2달 정도 중단후 발치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게 되면 MRONJ라고 하여 발치 이후 회복이 안될 수 있습니다.
즉 발치를 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발치 이후 해당 부위에 뼈가 골다공증 약에 의해서 차오르지 않을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dry socket을 포함하여 염증 및 고름이 생길 수 있어 추후 뼈를 제거해야하는 위험까지 있어 대부분은 골다공증약을 먹고 있다면 발치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네 골다공증약이나 주사를 투여하고 계시다면 약을 끊고 약 3~6개월 정도 지난후에 발치를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mronj라고 해서 골다공증약 등을 드시고 계실때 발치나 임플란트등의 술식을 했을때 턱뼈가 괴사되는 현상이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종열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공증약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골다공증 약을 복용중인 경우
휴약기간을 거쳐야 하여 이는 다니시던 정형외과 또는 내과의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계열의 약이라면 발치하셔도 무방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골다골증 약을 드시거나 주사를 맞으신다면 일단 약을 드시는 병원에서 발치가능여부를 판단해주셔야됩니다. 골다골증 약을 드시고 발치를 하게 되면 뼈가괴사가 되는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협진후 골다골증 약 중단여부를 판단하신후 발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공증약을 드시거나 주사를 맞고 계신 경우
부작용으로 일부 환자분들에서 뼈에 상처가 났을때 아물지 않고 뼈가 괴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골다공증약을 드시는 경우 큰 병원에서 피 검사를 통해서 이를 뺄수 있는 정도를
확인후 이를 빼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공증약의 경우 약의 종류에 따라서, 발치가 가능할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약물을 복용하고 계신다면, 복용을 3개월이상 중지한 뒤에 발치해야합니다.
그외의 계열의 약물이라면, 발치가 보통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