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무역 현장에서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관세 확대가 되었나요?

미국 상무부가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 407종에 50% 관세를 새로 적용한다는데, 무역 실무에선 풍력터빈이나 크레인 같은 설비류 수출입 시 통관 전략을 어떻게 수정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철강 알루미늄 파생품에 50퍼센트 관세가 붙는다고 하니 현장에선 꽤 난감할 것 같습니다. 풍력터빈이나 크레인 같은 대형 설비는 부품 단위로 들어가는데 그 안에 해당 소재가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세관이 과세 대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처럼 단순히 완제품 기준으로만 보지 않고 세부 자재 명세를 꼼꼼히 챙겨야 할 것 같습니다.

    또 원산지 규정이나 fta 협정세율 적용이 가능한지도 사전에 따져보는 게 필요해 보입니다. 수입 쪽에서는 관세부담을 줄이려면 보세구역 활용이나 분할 수입 전략도 검토될 수 있다는 얘기가 돌고 있습니다. 수출하는 기업은 미국 바이어와 계약 조건을 다시 조정하는 흐름이 생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최근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에 대한 대상이 확대되었으며, 내용에 따르면 딱히 유예기간 없이 그냥 바로 적용이 되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실제 파생제품에 대해서는 철강이나 알루미늄 함량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에 따라 BOM 등을 기반으로한 가격산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하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대상품목 여부 및 관세 계산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단 대상여부는 HS 코드를 통하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추가적으로 미국 cbp와 협의하여 관세를 계산할 수 있어야 됩니다. 따라서 원자재 명세서 등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