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많이 올랐는데 우리나라 환율 방어는 어떻게 준비를 하고 있나요
지금 달러 환율이 굉장히 많이 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이 아무래도 경계를 주도권을 쥐다 보니 환율이 많이 오른 거 같은 데요. 우리나라는 어떻게 대비를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이를 대비하기 위해 외환보유고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환율 안정화를 위한 외환시장 개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과 같은 통화정책을 통해 자국 통화 가치를 지지하고, 외환시장에서의 변동성 완화를 위해 다양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환율이 많이 올랐기에
한은 등에서는 시중에 외화를 푸는 등
여러가지 방어를 하려는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 방어라는게 사실 딱히 별개 없습니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보유한 달러를 외환시장에서 직접 매도 하면서 환율 상승을 좀 억제시키는거죠 사실상 올라가는 속도 조절만 가능한 상황이라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환율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수에 문제가 있어서 환율 방어를 위해 준비한
돈마저 사용하고 있기에 환율 방어에 묹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환율방어는 정부의 외환보유액과 기금 등으로 합니다.
하지만 보통 환율방어를 위해서 얼마의 돈을 썻다 이런건 공개를 잘안합니다.
괜히 환율 조작국 우려도있고해서 안합니다.
다만 최근에도 1400원대 진입하려고 할때 우리나라 정부에서 자금투입해서 저지하려고 했다는게 다수의견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함에 따라 한국 정부와 한국은행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외환당국은 외환보유액을 활용하여 시장에 달러를 공급함으로써 환율 급등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 3분기에는 175억 달러를 순매도하여 환율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350억 달러에서 500억 달러로 확대하여 외환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금리 차이를 조정함으로써 외국인 자본 유출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8월에는 기준금리를 2.25%에서 2.50%로 인상하여 물가와 환율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또한,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을 통해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추가적인 안전망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대응을 통해 한국은 환율 변동성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방어는 특정국가가 취할수 있는건 특별히 있는게 아닙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외환시장에서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직접 시장에 개입하여 보유하고 있는 달러를 매도하여서 환율을 떨어뜨리는게 가장 손쉬운 방법입니다 다만 이는 환율조작국지정사유가 되기 때문에 신중해야하며 이에 직접보다는 특정 위탁기관이나 조용히 개입하는 전략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시장금리가 상승하도록 공개시장조작등을 통하여 금리 상승을 유도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