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터프한바다사자214
터프한바다사자214

안 사라지는 목 멍울 문제로 다시 병원에 가야 될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22
기저질환
탈모
복용중인 약
철분제, 탈모약

작년 12월부터 목 옆에 멍울이 만져져서

조금 늦었지만 병원갔을땐 특별한 검사나 약 없이 통증없는 비특이성 림프절염이라는 진단을 받았는데요...

너무 오랫동안 안 사라지기도 하고 별다른 검사도 없어서 좀 찝찝합니다.

병원을 잘 안 가봐서... 이런 경우에 또다시 병원에 가 검사를 받아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크기가 커지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등 다른 변화가 없다면 장기간 지켜볼 수 있지만, 불안하시다면 초음파 검사와 같은 영상적 평가도 고려할 수 있으니 병원을 다시 방문해보셔도 괜찮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목에 만져지는 림프절 종대가 오랫동안 지속된다면 추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비특이성 림프절염은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림프절 비대를 의미하며, 대개는 양성 질환입니다. 그러나 림프종, 전이성 암 등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필요한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랜 기간 림프절 비대가 지속되는 경우 의사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림프절 초음파 검사: 림프절의 크기, 모양, 내부 구조를 평가하여 악성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2. 림프절 조직 검사: 림프절 일부를 떼어내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림프절 비대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혈액 검사: 감염, 자가면역질환, 종양 표지자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에 진찰받은 병원을 다시 방문하거나, 다른 병원의 이비인후과 혹은 외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 추가 검사 필요성을 상담해보시기 바랍니다. 림프절 비대가 악성 질환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면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빠른 진단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비특이성 림프절염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으나 크기 변화가 없거나 커졌다면 이비인후과 진찰과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