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 관련 과를 졸업하면 반도체 산업에서는 어떤 일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기계공학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기술자도 될 수 있고, 연구원도 될 수 있는데 반도체 산업이 우리나라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기계공학을 전공하면 반도체 산업에서는 어떤 일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문가입니다.
반도체 중에서도 각각의 회사마다 다르지만 저도 기계공학 졸업 후 반도체 웨이퍼 검사장비에서 일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삼성전자같은 회사에 입사 할수도 있고 중견이나 중소기업 반도체 관련 회사에서도 일할수 있습니다. 또한 직무마다 공무팀이나 연구원 아니면 품질부서등 여러분야에 기계공학 졸업생을 뽑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기계공학을 전공했다면 반도체 산업에서 반도체 설비 관련 업무를 진행하거나 공정 설계를 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패키지개발,
인프라기술,
기구개발 쪽으로 보통 가게됩니다
공정설계 / 공정기술도
따로 공부하면 참여가능하고.
CAE시뮬레이션으로
소자 구조해석 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재료역학적 부분에서
기계공학도들 역할 이 필요한 부분은
반도체 불량을 줄이기 위해
재료적 부분에서 보완을 해내야 하는부분인데
웨이퍼 파손
열이나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때
residual 응력이 남고. 이게.반복되어
fatigue 이론에 따라 웨이퍼가 박살나기도함
크렉
배선 공정에서 컨텍과 컨텍 사이 거리가 가깝게되면 단위면적당 가해지는 스트레스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크략발생 위험이 커지고
추가로 열팽청계수가 차이나는 두 재질이 잡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온 열공정을 진행할시 열팽창차이에 의해
크렉이 발생하기도 함
Warpage
웨이퍼가 평면이안되고 말안장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는 상태로
열팽창계수 차이로 발생허기도하고
각기다른 재질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기때문에
웨이퍼 위치별 변형량 차이에따라 발생
이런 각종 재료적 부분의 문제해결을 위해
기계공학도의 역량이 필수적 이라 하겠습니다
기계공학 전공자는 반도체 산업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 장비 설계 및 유지보수, 생산 공정 최적화, 열 관리 시스템 설계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밀 기계 설계와 진동 및 소음 제어,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반도체 웨이퍼 가공 장비의 설계와 개선, 공정의 효율성 향상과 품질 관리 업무를 수행합니다. 기계공학 지식은 반도체 생산 장비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신뢰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지식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기계공학관련과를 졸업했다고 반도체 산업에서 뭔가 대단한 일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반도체 개발단계에서 일을 할 수도 있고 생산라인에서 근무를 할 수도 있습니다. 딱히 지정된 곳이 없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이건 반도체 산업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에서도 같이 적용된다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기계공학을 전공후에 반도체 산업에서는 복잡한 기계 장비와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공자의 전문성이 중요하다고 볼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장비 설계 및 개발,공정엔지니어링,품질관리,자동화시스템 개발,열관리 시스템설계,클린룸설계 등의 일을 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