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큰 현상은 어떻게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여름이나 겨울에는 일교차가 크지 않은 것 같아 이해가 되는데 그 중간 봄이나 가을에는 어떻게 일교차가 큰가요? 똑같이 해가 뜨고 지는데 일교차가 커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습도는 기온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기 중에 수분이 많으면, 수분이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온이 급격히 변하지 않습니다. 수분은 일종의 열 저장고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오르지 않게 합니다. 봄과 가을에는 대기 중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밤에는 열이 빠르게 방출되어 기온이 떨어지고, 낮에는 해가 뜨면서 기온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특히, 구름이 없는 날씨일 때는 이 현상이 더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지표면은 낮 동안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고, 밤에는 이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봄과 가을에는 태양의 고도가 여름보다 낮고 겨울보다 높아, 지표면이 받는 태양 에너지가 중간 정도입니다. 여름에는 지표면이 많은 열을 축적하기 때문에 밤에도 그 열을 방출하며 기온이 천천히 떨어지지만, 봄과 가을에는 태양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와 낮에는 기온이 빠르게 올라가고, 밤에는 축적된 열이 부족해 빠르게 기온이 떨어집니다. 봄과 가을에는 태양의 고도가 여름이나 겨울에 비해 중간 정도입니다. 여름에는 태양이 높이 떠서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많고, 겨울에는 태양 고도가 낮아 에너지가 적습니다. 봄과 가을에는 태양 에너지가 적당히 들어오지만, 지구가 열을 방출하는 속도는 빨라서 낮과 밤의 기온 차이가 커집니다. 고기압이 발달한 날씨는 대기 중 구름이 적고, 바람도 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맑고 고요한 날씨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지표면에 그대로 도달하게 하여 낮에는 기온이 빠르게 올라가고, 밤에는 지표면의 열이 빠르게 방출되어 기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이러한 고기압의 영향은 특히 봄과 가을에 자주 나타나며, 이로 인해 일교차가 크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복사 냉각이란, 밤에 지표면에서 방출된 열이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입니다. 봄과 가을에는 대기가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구름이 적기 때문에 복사 냉각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구름이 없는 날에는 열이 방출될 때 구름이 없어서 열을 가두지 못하고,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면서 밤에 기온이 빠르게 떨어집니다. 봄과 가을은 여름이나 겨울과 달리 계절의 전환기입니다. 이러한 시기에는 대기 중에서 여러 기상 조건들이 변동이 크며, 그로 인해 낮과 밤의 기온 차이가 큽니다. 여름과 겨울은 계절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봄과 가을은 변화가 많기 때문에 일교차가 커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