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입주가 없는 상태에서 3기 신도시 건설이 서울 부동산 가격 안정을 이끌 수 있을까요?
이번에 정부에서 공급 정책이 나왔는데 서울 공급 이야기는 많이 없고 대부분 1기 신도시 재건축이나 3기 신도시 내용이더군요.
현재 서울에 입주 물량이 내년부터 거의 전무한 상황인데 서울 입주가 없는 상태에서 3기 신도시 건설이 서울 부동산 가격 안정을 이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단순하게보면 서울내 주택이 없더라도 그 주변지역에 주택수가 늘어나게 되면 주거이동은 가능하기 떄문에 공급확대로 볼수 있고 그에 따라 서울주택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그 주변지역과 서울간의 접근성을 높일수 있는 교통편의성의 확충과 거주에 필요한 기반시설등이 충족되어야 그 효과가 나타날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년부터 서울내 공급물량이 급감하는 것은 사실이고, 금리인하도 예상되는 만큼 가격상승의 문제가 나타날 여지가 있다 판단은 되는데, 실제 정부계획에 따라 시장내 공급이 이루어진다면 다시 안정화로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은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에는 건축할 토지가 부족하여 사실상 재건축, 재개발 등이 아니면 공급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신도시 개발을 통한 공급을 하더라도 서울의 인기지역에 대한 선호도는 여전할 것으로 판단되며 공급부족으로 주택 가격 상승은 어쩔 수 없을 것입니다. 다만 정부에서도 이를 알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규제 정책으로 가격을 억제하려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입주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3기 신도시 건설만으로는 서울 집값을 안정시키기는 어렵습니다
3기 신도시는 장기 공급 효과는 있으나 단기 서울 수요를 대체하기는 어려울거 같습니다
서울 내 공급 정책의 구체적 실행과 입주까지의 속도 확보가 중요합니다
현재처럼 서울 입주 절벽 + 수요 회복 국면에서는 서울 집값 상승 가능성이 더 높아질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2026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7천 가구 내외로 올해와 비교해 70% 이상 대폭 감소할 전망입니다. 이는 최근 수년간 착공 실적 저하, 재건축, 재개발 난항 등에 기인한 현상입니다. 서울에서는 신축 입주 공급이 크게 줄어 새 아파트 품귀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3기 신도시는 경기도 외곽에 위치하기 때문에 서울 생활권 수요층에게는 대체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서울 내 핵심 지역의 공급 부족이 해소되지 않으면 집값 안정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대규모 공급이 있어야 부동산 안정화가 될 것인데 주로 외곽 신도시 공급을 하게 될 경우 서울 도심의 부동산 가격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양극화 현상은 더욱 뚜렷해지게 될 수 있습니다. 도심의 경우 택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부에서 재개발 및 재건축의 규제를 풀어서 도심에도 활발하게 공급이 이루어져야 어느 정도 부동산 가격이 안정화 될 것인데 서울의 경우 주택수요는 많고 공급이 제한적이라 향후 상승은 불가피 할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