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투자시 환노출과 환헤지의 차이는 무엇이 있나요,
요즘 해외 ETF투자를 많이 하더라구요. 저는 해외투자를 하지 못했었는데요. 그중 환노출과 환헤지에 따라서 변동폭이 큰것같은데요. 차이에 대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투자 시 환노출은 외화 자산에 투자하면서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는 반면, 환헤지는 환율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환율 변동을 대비한 조치를 취하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환노출은 환율의 변동이 ETF 가격 변동에 그대로 적용이 되는 것으로 최근 환율이 상승했기 때문에
미국주식 기반 ETF의 경우 자산의 가격이 같이 상승하게 됩니다
반면에 환햇지 상품은 환율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으로 환율이 어떻게 변화하던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환노출은 환의 변동에 따른 위험이며, 환헤지는 환 변동에 따른 일종의 보험성격으로 피해를 최호화 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단어의 의미를 보면 어느 정도 유추가 가능할 것 입니다. ^^
환노출ETF의 경우는 환율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즉 원화 약세 시 수익이 상승하고 반대일 경우 수익이 감소하겠죠. 이때 변동성에 따라 환차익 또는 환차손이 발생 하게 됩니다.
환헤지ETF는 환율 변동 리스크를 헤지(즉 제거)함으로서 투자하는 자산에만 집중하게 됩니다. 대신에 헤지 비용이 발생합니다. (투자 비용 증가)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 ETF상품은 달러표지자산이거나 아니면 엔화나 다른 통화로 표시된 국채형자산도 있습니다 이럴경우 환율변동으로 인한 손실이나 수익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에 환헤지형은 H라는 제품이 마지막에 표시되고 헷지를 위해 선물매도를 하여 하락이나 상승시 원화에 고정되도록 헤지하는 상품을 말하며 노출상품은 환율 상승하면 수익이나고 하락하면 손실이 나는 상품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ETF투자 시 환헷지는 간단하게 원달러 환율 오르고 내리는거랑 상관없이 ETF 기초자산 변동성만 추구하는 걸 말합니다 ETF 환노출이 된건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평가익이 더 생기고 원달러 환율이 내리면 평가손이 더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2025년도 하시는 일 다 잘되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환노출은 환율 변동에 대해서 별도로 이를 방어(헤지) 하지 않는 것이고(* 환율 변동에 따라 추가 수익 or 손실이 가능함. ) 환헤지는 환율 변동에 대해서 이를 방어(헤지) 함으로써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률 변화를 없게 만드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 ETF 투자에서 환노출과 환헤지의 차이점
환노출 ETF는 환율 변동에 그대로 노출되는 상품, 품명 끝에 '(UH)'로 표시되며 주식 가치와 환율 변동 모두가 수익에 영향을 줍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때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환헤지 ETF는 환율 변동 위험을 차단하는 상품으로 상품명 끝에 '(H)'로 표시되고 순수하게 종목의 가치만으로 수익을 판단합니다. 연 2~3% 정도의 추가 운용보수가 발생합니다
고환율 시기에는 환노출 ETF가 유리할 수 있고 환율 하락 시에는 환헤지 ETF가 환차손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투자 목적에 따라 두 유형을 적절히 분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투자할때 환노출과 환헤지 상품이 있는데, 환노출은 환율 차이로 발생하는 손해나 수익 모두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환헤지는 환율변동으로 인한 환차익이나 환손해가 발생하지 않는 상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