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락골절 ct나 초음파중에 어느것이 더 정확한가요?
4달전 새끼발가락골절로 처음에 엑스레이로 검사에 못발견해서
2달뒤 ct로 발견했는데..
다시 2달뒤애 엑스레이로만 뼈가 붙었다고 판정받았습니다.
근데 새끼발가락이 90도로 꺽이면 미세통증이 남아있고 뻐근한 느낌이 있네
요..엑스레이로 또 잘못 판정받은거같 아니가 느낌이 들어서
리한번더 검짐받고싶습니다.그래서
ct는 피폭이 강하다고해서 걱정이되서
혹시 ct나 초음파중에 어느것이 더 정확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정확한건 초음파보다 CT가 정확합니다. 근데 X-RAY에서 뼈가 붙었다고 하면 골절 에 의한 새끼 발가락에 통증 보다는 근육통일 수도 있을거같습니다. 뼈가 골절되었으면 그 주변근육도 긴장을 하고, 근육의 긴장은 통증으로 나올 수 있고, 가동범위 제한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별도로 재활 치료나 아니면 주위 근육 이완은 자주 하셨는지요?? 각도가 90도 안된다는것은 골절에 의미보다는 근육이 아직 제 자리를 못잡았거나 긴장한 상태가 유지되어있는것으로 보입니다. CT로 골절 확인도 좋지만, 우선 발가락 주위 근육 (발등 , 발바닥 포함) 이완시켜주시고 다시 체크해보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발가락골절로인해서 검사를 받았다면 초음파검사보다는 CT검사가 더 정확할수있는데요 검사를 할때나오는 방사선량은 소량이기때문에 인체에 큰영향은 없으니 너무 걱정하지않아도 괜찮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Ct는 뼈의 세밀한 구조를 잘 보여주기 때문에 골절 진단에 매우 정확합니다 초음파는 연조직이나 혈관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지만 뼈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ct는 방사선 피폭이 있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영상장비 촬영으로 인해서 피폭되는 방사선 양은 검사를 받는 정도로는 신체에 전혀 무리가 안가는 정도이니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골절의 접합유무에 대한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ct가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골절이 유합된 이후에도 주변 조직의 치유가 다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타박의 후유증으로 인해 약간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치의와 상담을 통해서 추가적인 검사나 필요한 경우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발가락 골절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CT의 피폭에 대해서는 너무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초음파 검사로도 일부 미세골절의 감별이 가능하지만 더 정확하게 골절 여부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CT나 MRI 촬영을 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