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검붉은귀뚜라미118
검붉은귀뚜라미118

환율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장기적으로 우상향할까요?

1480원까지 갔던 환율이 오늘 1350원 아래로 떨어졌네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1600원 간다는 소리가 있었는데 국내 정치 상황이 안정되니까 떨어진걸까요? 국가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으니 환율은 우상향 할것이라는 의견이 많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단기적으로는 1300원 안팎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타이밍에 따라 1250원~1350원 박스권을 예상하는 시각이 많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점진적인 우상향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고령화, 저성장 구조, 무역의존도 변화 등 구조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앞으로 미국의 기준금리를 낮출 것으로 예상이 되면서 환율은 꾸준히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또한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시장을 매력적으로 보기 때문에

      더욱 매수를 많이 할 수 있게 됩니다.

    • 전반적으로 호재가 되지만 단점은 수출 실적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의 달러화 약세를

    유도할 가능성이 큰 등

    이에 따라서 당분간은 어느정도

    내려갈 여지가 있다고 보여지나

    어떻게 될 지는 모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달러 환율은 국내 정치 상황 안정 등으로 인하여 단기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국가 경쟁력에 대한 악화 루녀와 글로벌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은 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한 방향으로 예상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외 사회, 정치, 외교 등의 상황이 조금씩 안정화되거나 또는 과거의 충격에서 무뎌지면서 환율이 안정화를 되찾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이 떨어질만한 근거는 없고 환율 역시 오히려 약보합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환율이 확실히 많이 안정화가 되었는데요. 이는 미국 금리 인하 기대, 한국 금통위의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는 모습, 무역수지가 개선되며, 국내 정치 리스크가 어느 정도 해결되어 원화에 대한 신뢰도가 올라갔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풀이됩니다.

    허나, 단기 하락과는 별개로 중장기적으로 환율은 우상향할 수 있다는 시각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의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고, 해외 자본 유출 압력이 강해지고 있으며, 경상수지 구조가 변화하고 있고, 트럼프 정부의 관세 등에 매우 취약한 경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환율이 장기적으로 하향 안정화되기는 어렵고, 점진적 우상향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당분간 환율은 큰 이슈가 없기 때문에 1350원 전후에서 박스권을 형성할듯 합니다.

    당분간 환율은 신경안써도 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경우 점차적으로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환율이 미국에서 자국의 무역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국의 달러의 가치를 평가절하를 하고 있기 떄문입니다. 이러한 것을 기준으로 볼때, 미국의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면 결국 원화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점에서 무역에서의 수익성은 줄어들 수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록 환헷지를 진행한다고 하더라도요. 따라서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할때 환율의 경우 우하향하며 안정화 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