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월세 및 매매 공급이 부족한 이유와 구매하려는 입장에서 언제가 적기일지?
최근에 지인 통해서 좀 알게 된 부분인데요,
이건 저도 좀 지금 매물도 전월세 공급도 없는 상황에서 이사를 하게 될 까봐 걱정되는 부분인데,
집 주인들이 차라리 내가 들어와서 살겟다고 하게된게,
세금 하고 임대차 관련 정책 문제인 것 같더라고요.
임대차의 경우는 월세를 5프로 올려도 세금으로 다 떼가서 그냥 내가 들어가서 살지
하면서 뭐하러 남 주냐고 하는 상황인 거 같고,
정책 부분도 별별 것들 많던데 결국은 그럴 거면 자녀들이나 친인척들 들어가 살게 하거나, 본인이 직접 살겠다는
부분이던데요.
일단 말을 들어보면 반대입장, 어차피 집을 사려는 입장에서도 납득이 되는 상황이긴한데,
문제는 당장 내년에 이사를 가게 될 지도 모르는 상황이고 , 전월세 공급은 현재 사는 지역 근처로는 아예 없는 상황인데다가 매매 물량도 확실히 줄어있는데요.
상황이 계속 이렇게 갈거면 차라리 현재 거주 중인 곳 근처 기준으로는 대출금 없이 집을 못살 것도 아니어서,
어차피 1주택은 있어야 하고, 그냥 지금 사는 곳에서 지하철 기준으로 6정거장 떨어진 곳이라도 사려고 하는데,
언제쯤 집을 사는 것이 나을지 현재 국가 정책 방향 기준으로 적당한 기간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 한국의 전월세·매매 시장이 동시에 공급 부족을 겪는 이유는 심리 , 정책 ,세금 , 공급 공백이 겹쳐서 생긴 결과라, 단순히 지금 사라,기다려라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결국 서울은 땅면적이 좁아서 갈수록 공급 부족현상은 나타날것으로 보입니다
본인의 자금사정이 괜찮다면 상황을 봐가면서 조금이라도 급매가 나온다면 매수를 하는것도 방법이라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 부동산 전월세 및 매매 공급 부족 원인은 2025년 과거 공급 과잉 시대에서 공급 부족 시대로 전환되었고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건설사 재무 악화로 인해 주택 착공 자체가 위축되어 앞으로 당분간 공급 부족 현상이 계속해서 심화될 전망입니다.
공급 부족과 정책 영향으로 전월세 및 매매시장 모두 공급이 부족하여 자금 계획을 세우고 합리적인 가격의 매물을 신중하게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상황이 계속 이렇게 갈거면 차라리 현재 거주 중인 곳 근처 기준으로는 대출금 없이 집을 못살 것도 아니어서,
어차피 1주택은 있어야 하고, 그냥 지금 사는 곳에서 지하철 기준으로 6정거장 떨어진 곳이라도 사려고 하는데,
언제쯤 집을 사는 것이 나을지 현재 국가 정책 방향 기준으로 적당한 기간을 알고 싶어요?
==> 구입자금이 준비되는데 구입을 하시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현재 상황에서 주택공급이 선행되지 않아 계속해서 부동산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특별법으로 보장하는 갱신청구권의 경우는 임대인이 무조건 지인을 살게하거나 하는 이유로 거절할수 없습니다. 실거주를 이유로 거부할때에는 명의자 또는 명의자의 직계존비속만 가능하기에 질문처럼 친인척들이 들어가는 조건으로 거부할수 없습니다. 그리고 전월세 시장의 물량이 줄어든 이유는 규제지역 확대등에 따라 갭투자나 구입자금대출이 제한됨면서 구축에 대한 공급이 줄어든 영향이 있습니다. 질문처럼 주거안정을 위해 최종적으로 자가주택을 구입하실 경우에는 그 구입시기 결정기준이 정책방향이나 시세방향보다는 자금에 대한 조달가능성, 구입자금에 대한 계획이 원하시는 주택을 구매할때 무리가 안되는 수준이라면 해당 시점에 구매를 하시는게 맞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규제가 강화되었다 하더라도 무주택자나 생애최초구입자들의 혜택은 일정부분 유지가 되고 있기 떄문에 잘 알아보시고 자금조달계획을 세우신뒤 구입과 소득대비 원리금 부담이 심하지 않은 시점이라면 구매를 진행하시는게 가장 현명하다 판단이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