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서기장의 방한을 계기로 우리나라와 베트남은 어떤 발전적 관계를 가지게 될까요?
미국과 중국과 대립 속에서 베트남과의 경제협력은 우리나라 기업에 어떤 경쟁 우위를 제공할 수 있을까요? 향후 지속 가능하고 상호 호혜적인 협력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기반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베트남 서기장의 방문을 한것을 토대로 다양한 경제적인 협력이 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이러한 것은 대기업들의 베트남 공장 신설 등을 통해서 한국에서는 저렴한 인건비를 통해서 제품을 생산하고, 베트남에서는 생산직 등에 취업을 통해 보다 높은 급여를 받을 수 있고, 취업이 될 수 있다느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은 여러가지 긍정적인 시너지를 낼수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베트남 서기장의 방한과 양국의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번 베트남 서기장 방문시 경제 관련 회담도 많이 열렸고 MOU도 많이 체결되었기에 분명 경제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양국 정상은 2030년까지 교역액을 1500억 달러로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는 1992년 수교 당시 5억 달러에 불과했던 교역 규모가 170배 이상 증가한 성과를 바탕으로 합니다. 양국은 재생에너지, 원전, 핵심 광물 공급망 등 첨단 기술 및 미래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습니다. 베트남은 텅스텐,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어, 한국은 이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에 진출한 약 1만 개의 우리 기업이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베트남 측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베트남과의 협력은 공급망 다변화와 제조기지 확충에 유리합니다. 한국 기업은 미국, 중국 갈등속에서 베트남을 대안 생산 기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기술, 인재교류, 투자협정 등이 뒷받침되면 지속 가능 협력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외교·안보 분야 전략적 소통·협력 강화, 교역·투자, 대규모 인프라 등 호혜적 실질 협력 심화, 첨단·과학기술, 에너지, 공급망 등 미래지향적인 분야로 협력 확대를 위해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심화를 위한 공동성명 채택 등을 진행했는데요. 2030년까지 교역 규모 1,5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양 국가간의 무역 등에 있어서
원만한 합의점을 도출함과 동시에
교역 등을 늘리며 상호 우호적인 투자 및 교역관계가
형성되는 등의 정책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베트남 서기장 방한이 단순한 외교 행사로 끝날 일은 아닌 듯합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베트남 입장과 공급망 다변화를 노리는 우리나라 이해관계가 맞닿아 있으니까요. 특히 전자 부품이나 섬유 같은 분야에서 생산 기지를 베트남에 두는 기업들은 안정적인 협력 체계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 양국 간 투자 협정이나 세제 지원 같은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다면 기업들이 현지에서 겪는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을 겁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베트남 서기장의 방한은 전략적 파트너쉽 강화의 신로서 한국 기업에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미,중 갈등 속에 베트남은 생산기지, 공급망 다변화의 핵심지로 한국 기업들은 전자, 반도체, 배터리, 소비재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 할 수 있습니다.
향 후 지속 가능한 협력을 위해서는 FTA 투자보호 강화 그리고 기술,인력 교류와 친환경, 디지털 전환 공동 프로젝트 같은 정책적 기반이 필요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