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사막위의오아시스
사막위의오아시스

중산층의 기준이 사전적으로 정의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많은 사람들이 본인들이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며 살지만 중산층은 실제 많이 없다고 없다는데요. 중산층의 실 기준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특별하게 중산층은 이러한 기준이다 라면 명확한 기준이나 가이드 라인은 없습니다. 다만

    중산층을 정의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소득을 기준으로 삼는 것입니다.

    통계청에서는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계층을 구분하는데, 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중위소득의 50% ~ 150% 범위에 속하는 가구를 일반적으로 중산층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기준으로 4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약 540만 원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중위소득의 50% ~ 150%에 속하는 소득을 가진 가구를 중산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약 270만 원에서 810만 원 사이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중산층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세계적으로 모두가 동의하는 중산층의 절대적 기준은 없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쓰는 중위 소득(전체 국민을 소득순으로 한 줄로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 기준이 널리 이용되고 OECD는 소득이 중위소득의 50~150퍼센트인 가구를 중산층으로 분류하고 있고 50퍼센트 미만은 빈곤층, 150퍼센트 이상은 상류층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중위 소득은 가구원 수와 관계없이 세전 월 350만 원으로, 월 소득이 175~525만 원 구간에 있는 가구가 중산층이라고 본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중산층의 실질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다만 OECD기준으로 중위소득 75%~200%이라는 넓은 기준이 있습니다만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 기준과 괴리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이라는 기준은 소득으로 정의된 바가

    따로 없습니다.

    중산층은 소득이 안정화되고 노동자나 농민 수준을 훨씬 넘는 여가나 소비생활을 하는 집단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의 기준은 사전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국가나 지역, 시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 150%인 가구를 중산층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전체 국민을 소득 순으로 한 줄로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한국에서는 중산층이 축소되고 있다거나 심지어 사라지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있지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중산층 기준에 비춰보면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중산층의 기준은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소득 수준 외에도 직업, 자산, 문화생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의 사전적 정의는 없습니다. 보통 기준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우리나라에서는 생활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기준 중위소득이라는 지표를 사용하고 해당 수치를 기준으로 중산층을 분류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매년 8월1일 해당수치가 공표되면 가구원수에 따른 중위소득 100%를 기준으로 이보다 더 높다면 중산층이라 보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수치에는 재산상황등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기준일뿐 실제 인터넷상에서는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구분되어 있지만, 사실상 정확한 기준이라고 볼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