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탁월한오소리221
탁월한오소리221

민주주의를 멍청한 제도라고도 하던데

책에서 민주주의를 가장 멍청한 제도라고도 하던데 그렇게 비판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민주주의가 가장 근본 토대가 되는 이념으로 배웠는데 책에서는 비판을 하길래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속한까마귀200
    신속한까마귀200

    민주주의는 다양한 이념과 관점에서 비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판은 항상 특정한 상황, 문맥 및 개인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일반적인 민주주의 비판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다수결 주의: 민주주의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인 다수결 주의는 모든 의사결정을 다수의 의원 또는 투표를 통해 결정한다는 개념을 내포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소수의 의견이 무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다수결이 항상 최선의 결과를 보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투표의 효율성: 민주주의는 종종 정책 결정을 민중 투표를 통해 이루어지게 하는데, 이 과정은 복잡하고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많은 국가에서는 정책 결정이 정치적인 이유로 지연되거나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할 수 있습니다.

    3. 다수의 횡포: 민주주의는 다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체계이지만, 때로는 다수가 소수나 약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수나 약자의 권리가 훼손될 수 있습니다.

    4. 정치적 분열: 민주주의 체제에서는 다양한 정치적 이해 관계가 충돌하고 대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열과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정책의 단기적 초점: 정치인들이 다음 선거를 대비하면서 단기적인 선거 결과를 위주로 정책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장기적인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판은 민주주의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 체제를 개선하고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민주주의의 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민주주의는 다양한 형태와 변형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 및 문화에 맞게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팔팔한파리매131입니다.

    민주주의는 장점이 더 많으나, 느린 의사결정, 양극화와 갈등, 유권자의 무관심, 다수의 횡포, 전문성 부족 등의 단점이 발목을 잡아 앞으로 전진하여야 함에도 걸림돌이 되는 경우 등을 과대 포장하였다고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