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혈액형이 왜 A B C가 아니고 O형이 있는건가요

혈액형이 A B C 형이 아니라 O 형이 있는데요 그렇다면 왜 A B C형이 아니라 O형이라는 다소

공통점이 있는 혈액형순서가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ABO식 혈액형에서 왜 A, B 다음으로 C가 아닌 O형이 된 것인지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900년 오스트리아의 병리학자인 란드스타이너(Karl Landsteiner)는 사람의 적혈구와 혈청을 반응시켜 응집 여부를 정리하여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A군, B군, C군으로 나누었습니다. 1902년 Decastello와 Sturli가 AB 혈액형을 발견했는데요, 처음에는 ABC 혈액형으로 불렸으나, C혈액형의 적혈구는 다른 혈액형의 혈청과 응집을 유발하지 않았으므로, 영어의 without을 뜻하는 독일어 Ohne의 첫글자인 O를 따서 ABO식 혈액형이라고 명명하게 된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가지고있는 항원항체에따라 결정됩니다.

    A형은 A형항원과 B형항체를,

    B형은 B형항원과 A형항체를,

    AB형은 A형항원과 B형항원을 갖고, 항체는 가지고있지않습니다.

    O형은 반대로 A형,B형 항원을 가지지않고, 항체를 모두 가지고있습니다.

  • 과거에는 혈액형을 A, B, C형으로 분류했지만, C형 혈액에는 A형이나 B형 항원이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없다'는 의미의 독일어 'Ohne'의 첫 글자를 따서 O형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혈액형이 O형으로 구분되는 이유는 유전자에서 특정 항원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방식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A형과 B형은 각각 A 항원과 B 항원이 있는 반면, O형은 이 두 항원이 모두 없는 상태로 정의됩니다. 즉, O형은 "부재"의 상태로, A형과 B형의 유전자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혈액형이 아닌 "기본형"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그 순서가 먼저입니다.

  • 사실 O형이 본래는 C형이었습니다.

    ABO식 혈액형은 가지고 있는 항원에 따라 나눈 것인데, A형은 A항원, B형은 B항원만 갖고 있으며, 두 항원을 모두 갖고 있는 경우는 AB형이고, 두 항원 모두 없는 경우는 O형입니다. 반대로, A형은 B항체, B형은 A항체가 있고, 두 항체를 모두 갖고 있는 경우는 O형이고, 두 항체 모두 없는 경우는 AB형이죠.

    ABO식 혈액형 이외에도 Rh, MNSs, Duffy, Kidd, Kell, Lewis 등 여러 종류의 적혈구 혈액형 항원들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혈액형이 나뉘게 됩니다.

    하지만, 본래 지금의 O형은 C형이었는데, A형과 B형, AB형은 각각의 항원을 바탕으로 이름이 지어져 그 특성이 반영되었지만, C형은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고 이후 특성을 반영하여 O형으로 변경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O형은 저도 배울때 항체가 없다는 의미로 만들어 진거라고 배웠답니다.

    만약 다른 혈액형이 있었다면 C로 되지 않았을까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독일어랑 관련이 있습니다. O형은 O는 독일어(Ohne)로 '없음' 을 표현하며 O형인 사람의 당사슬에는 A, B형 물질이 아니라 모든 형에 공통되는 사슬인 'H' 형 물질만 붙어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