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수요일
수요일

초등학교입학전에 꼭 아이들 선행학습이

요즘초등하교 입학전에 벌써 한글을 다배우고 들어간다고 들었습니다. 수학도 배워야하고 예전 우리들이 학교에 다니던 학교는아니네요 왜이렇게 변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맞벌이 부부들도 늘어나고 부모님의 경제적 상황이나 학력이 높아졌을뿐만 아니라 자녀의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또한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교육욕심때문에 일찍부터 시키는 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찍부터 조기교육을 시키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초등학교 입학전부터 영어, 논술, 한글, 수학등 미리 기초적인 학습적인 부분을 시켜주고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서 잘 적응하도록 하는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시대에 흐름에 따른 결과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산업사회에서는 먹고 살기 힘들어서 아이들의 교육에 크게 신경을 쓰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요즘과 같은 정보화시대, 정보기반사회에서는 아이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행학습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입시제도는 사교육과 선행학습을 조장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이 학교 들어가기 전에 한글.수 선행학습를 해야 하는 이유는 수업을 따라가기 위함 입니다.

    다른 아이들은 수업에 참여를 해서 진도를 따라가는데 우리 아이가 뒤쳐진다면 이것조차 속상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

    적어도 다른 것은 몰라도 한글.수는 어느 정도 알아야 학교 수업 진도를 따라가기가 수월합니다.

    학교 들어가기 전 선행학습이 필요한 이유는 학교 적등을 돕는 차원에서 필요로 합니다.

  • 예전에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한글을 배우고 숫자를 배우기 시작했는데요. 요즘은 한글은 떼고 들어가야 하는 분위기 입니다. 그 이유는 부모님들이 이미 유치원 때 한글과 숫자를 다 가르치고 입학을 하기 때문입니다. 사교육도 발달하고 조기교육을 시키는 부모님이 많이 짐에 따라 한글을 모두 아는 초등 1학년들이 다시 기억.니은 부터 공부하면 집중도 하지 않고 반 분위기도 좋지 않습니다. 안타깝지만 지금 현실은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전 한글은 어느정도 배우고 들어가는게 아이가 편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요즘은 아이들이 성장이 빠르고 조기 교육 문화가 많이 생겼기 때문에

    아이들의 가정에서 부모님들이 다른 아이들에게 뒤쳐지지 않게 하기 위해

    애살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시키기 때문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요즘에는 선행학습이 당연하게 바꼇다고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참 씁쓸한 현실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조금 느리더라도 선행학습이 아닌 학교에서 수업을 들어도 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예전에도 그렇게 많이 다르진않았던것 같습니다. 한글은 6,7세에 많이들 떼고 들어왔었고 수학또한 수세기정도는 많은아이들이 익히고 입학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선행학습을 하고 오시는데 선행학습이 꼭 필요한건 아닙니다 선행학습 때문에 학교수업에 집중력이 떨어지기도하거든요

  • 경제 사정이 좋아지면서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죠

    요즘 학부모님들의 학력 수준도 예전에 높아 진 것도 한 몫을 합니다

    지금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안 다니는 아이를 찾아 보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도 수업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 한글 수업은 있기는 하지만 잠깐 하고 넘어 가기 때문에

    입학해서 배우면 좀 늦은 감이 있는 건 사실 입니다

  • 예전에 비해 출산률이 말도안되게 적어졌습니다.

    2명3명 낳았던 예전에 비해 지금은 1명도 낳을까 말까 정도지요.

    그러다 보면 사교육에 돈을 많이 쓰게 된게 아닐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회 전체적으로 고도화된 산업이 발달되면서 우리 아이들에게 요구되는 사항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글 교육과 수학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원래는 학교에 입학해서 모든 교육과정을 배우게 되어 있으나 현재 교육과정 자체가 미리 배우고 와야 아이들이 덜 힘든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