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A토큰 같은 토큰을 만들고자 하는데, 패가망신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이 시스템이 엄청난 것 같더라고요.
네이버 지식인 + 블록체인 보상시스템을 통해
답변한 사람들에 대한 실체적인 보상이 있으니
열심히 답변을 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광범위한 질문이 아닌,
콘텐츠를 업로드해주는 사람에 대한 보상시스템을
이곳같이 설계해 보려고 하는데요.
그리고 업비트에도 상장을 시켜보려고 합니다.
이렇게 했을 때 어떤 리스크가 있을까요?
물론 루나사태와는 완전히 다르지만,
코인판이라는 것이 워낙 리스크가 같이 따라가는 판인만큼 어떤 리스크가 있을지 궁금하네요.
이곳에 답변주시는 분들이 이코튼이 떡락했을 때 받을 타격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만들수야 있겠지만 해당 토큰의 가치가 있는건 별개의 일입니다 이미 이런 플랫폼이나 해외에도 다양한 야핑이나 여러 소셜파이 서비스가 있습니다 거기다 NFT를 활용한 WEB3의 다양한 프로젝트가 있는 상황입니다
이말 자체는 자본투자없이 플랫폼을 만든다고 저절로 유저가 늘어나거나 하지도 않으며 해당 토큰의 가치도 제로라는것입니다 이말은 업비트나 해외거래소에 상장할때는 기업이나 재단이 엄청난 상장피를 지불하셔야합니다 즉 공짜가 없으며 해외거래소 1티어급 최소 10억이상 상장피를 요구하며 상장도 그냥 시켜주지 않습니다
상장요건도 과거와 다르게 매우 엄격하며 유저가 얼마나 되며 재단 운용사의 과거 프로젝트 경험 이력이나 요건 실제 해당 플랫폼의 거래수준이 DEX거래소인 탈중앙화에서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정확한 로드맵이 무엇이며 발행한도나 유통량 소각량 이런것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해야합니다
즉 이런 형태는 공짜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유저가 늘기위해서 각종 프로모션이나 마케팅활동으로 재원을 쓰셔야하며 플랫폼의 운영비도 필요하고 그리고 상장전에 토큰의 거래가 되도록 DEX라는 탈중앙화거래소에서 거래가 되도록 해야하고 이를 위해서 직접적으로 유동성풀을 제공하기 위해서 재단이나 기업측이 토큰이 운용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에서 여기서 해당되는 네트워크의 코인을 직접적으로 예치해야합니다 즉 이런 코인을 보유하셔서 제공해야하므로 결국 이도 운영비입니다
이런 과정이 없다면 해당 플랫폼은 무쓸모이며 유저도 모이지도 않고 가치도 없는 플랫폼으로 전락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법적 규제리스크: 국내외 가상자산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토큰이 증권성으로 판단되면 자본시장법 적용을 받아 영업중단, 벌금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제성, 지속성 리스크: 토큰 발행 후 보상 구조가 유지되지 않으면 유동성 고갈, 가격 폭락으로 서비스 신뢰가 무너집니다.
운영리스크: 블록체인 시스템 보안, 사용자 확대 전략, 거래소 상장 여부 등에서 실패 시 사업 유지가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