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제도의 장단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한국에서 공매도와 관련된 얘기가 나오면 개인투자자를 죽인다고 합니다. 그런데 세계적으로 공매도 없는 국가가 더 적은 걸로 아는데 공매도 제도의 장단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매도 제도의 장단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공매도의 장점으로는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하락장에서도 수익이 창출 가능하며
시장 효율성과 위험 해지 기능이 됩니다.
대신 단점으로는 주식 하락을 부추기게 되며
또한 무한대로 손실이 가능하여 지기에 조심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주식은 주식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과 불공정 경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기업의 실제 가치보다 과도하게 높다고 판단될 때, 매도 압력을 가해 거품을 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주가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시장의 과열을 막는 데 기여합니다. 하지만 한국의 공매도 시장은 기관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가 개인 투자자에 비해 훨씬 유리한 조건으로 주식을 빌릴 수 있어 기울어진 운동장 이라는 비판을 받습니다. 이로 인해 개인 투자자들이 불리한 위치에서 경쟁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와 같은 경우에는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풍부하게 하고 주식의 거품을
제거하는데 기여하나 아무래도 주가 하락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제도는 주가 하락장에서 수익을 얻거나 위험을 헤지할 수 있고, 시장 가격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과도한 공매도는 주가 급락과 시장 변동성을 키워 개인 투자자에게 불리한 구조를 만들거나 시장 신뢰를 약화시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측하고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하락하면 더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수해 갚아 차익을 얻는 기법입니다.
공매도는 시장 가격의 거품을 걷어내는 역할을 하며 시장의 유동성을 확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매도 거래가 확대되면서 시장에 거래가 활발해지고 유동성이 확대되기도 합니다.
다만 개인 투자자는 공매도를 못하기 때문에 불공정이 우려되며 주가 하락 압력을 주어 투자 심리를 위축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얘기가 나오면 항상 시끄럽습니다. 누군가는 시장을 교란한다고 하고 또 다른 쪽은 가격을 합리적으로 만든다고 말합니다. 장점부터 보면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오를 때 과열을 식혀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기업의 실적이나 펀더멘털에 맞지 않게 올라가면 공매도가 눌러주는 셈이죠. 또 유동성을 늘려서 매수와 매도 균형을 맞추는 역할도 있습니다. 반대로 단점은 뻔합니다. 세력이 악용하면 특정 종목을 집중 공격해 주가를 급락시켜 개미 투자자 피해가 커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는 주가하락에 베팅할 수 있어 시장 가격 발견 기능을 강화하지만 과도한 공매도는 주가를 왜곡하고 개미 투자자에게 불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매도 세력이 시장을 조작할 가능성이 있어 제도적 장치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공매도는 장점도 있지만 충분한 공시와 규제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의 경우에는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해당되는 주식의 권리를 빌려서 추후에 주식을 갚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로 기다리거나 또는 내가 스스로 매도하여 주가를 떨어뜨리고 추후 저렴한 가격에서 매수하여 갚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공매도를 하게된다면 매도를 통해서 가격을 합리적인 금액대로 조정을 할 수 있으며, 매도를 통해서 투자방법이나 전략을 보다 새롭게 가질 수 있다는 장점도 있는ㄴ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상 공매도는 이재명정부 몇달전 올해에 정상화되어서 지금은 공매도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6월과 7월은 오히려 엄청난 강세로 40프로가까이 상승하며 공매도는 시장약세 요인이 아니라는걸 이미 입증했습니다
공매도가 있을경우 특정종목이 하락추세시 더 강하게 하락하는 이런 종목리스크가 단점이며 하락추세가 광범위할때는 공매도가 더 빠르게 하락시키는 작동을 하긴 합니다 그러나 오히려 상승시 이런 쇼커버물량이 나와서 상승이 더 가파르고 시장유동성이 더 커지는 요인과 해외의 롱숏패시브자금이 훨씬 큰데 이들 자금이 대규모로 유입되기 때문에 시장 유동성측면에서는 공매도가 있는게 훨씬 낫습니다
근본적으로는 공매도가 시장약세의 구조적 요인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