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거창한레아146
거창한레아146

부동산 매매가 어디서 확인해야 정확한가요??

네이버 부동산 매매가에서 확인한거랑 다방 직방 어플에서 확인한 거랑 다른데 어디서 확인해야 정확한가요??

전세보증보험 가입하려는데, 어디 매매가를 기준으로 해야지 전세금액이 적절하게 설정된건지 확인할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려면 그집의 공시지가에 126%를 곱해서 나온금액이 전세가이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계약했던 부동산에 가서 공시지가좀 뽑아달라고 해서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지 확인을 해달라고 부탁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매매가를 정확하게 확인하려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 시스템은 실제 거래된 가격을 기반으로 하여, 네이버 부동산, 다방, 직방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보다 더 정확합니다. 또한, KB부동산 시세와 한국부동산원 시세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곳은 주택담보대출 금액 산정 시에도 사용되므로 신뢰도가 높습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시에는 최근 매매가의 90%를 기준으로 전세금액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HUG, SGI서울보증,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기준입니다. 따라서,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위해서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KB부동산 시세, 한국부동산원 시세 중 하나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실거래가는 정부에 신고하는 금액이기 때문에 직방과 네이버 부동산 모두 신뢰할만 합니다. 두 군데 모두 확인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시세 즉 네이버나 직방이나 호갱노노등 많은 사이트들이 시세를 보여 주지만 전세보증보험 가입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최적의 시세는 KB부동산 입니다. 즉 KB시세를 보셔야 가장 정확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보증보험의 기준 주택시세는 아파트는 KB시세 단독주택이나 빌라는 유사매매를 참고하기 어려우므로 공시가를 바탕으로 계산하는 산식이 있습니다
    공시가는 국토부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를 통해서 확인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HUG의 경우, 아파트나 오피스텔인 경우에는 KB시세(onland.kbstar.com)나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테크(www.rtech.or.kr)중에서 택일하고, 가격이 없는 경우 순서대로 공동주택공시가격의 140%, 안심전세 앱 시세의 하한가, 해당세대 등기부등본상 1년내 최근 매매 거래 가액, 분양가의 90%, 토지 공시지가와 건물 시가표준액을 합산하여 전체연면적대비 해당세대 연면적 비율로 산출한 금액의 140% 또는 감정평가금액의 100% 순으로 적용합니다.

    연립다세대의 경우에는 공동주택공시가격의 140%, 안심전세 앱 시세의 하한가, 해당세대 등기부등본상 1년내 최근 매매 거래 가액, 토지 공시지가와 건물 시가표준액을 합산하여 전체연면적대비 해당세대 연면적 비율로 산출한 금액의 140% 또는 감정평가금액의90% 순으로 적용합니다.

    단독.다중.다가구 주택인 경우에는 공동주택공시가격의 140%, 해당세대 등기부등본상 1년내 최근 매매 거래 가액, 토지 공시지가와 건물 시가표준액을 합산하여 산출한 금액의 140% 또는 감정평가금액의100% 순으로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