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피로 물질인 젖산이 근육통을 유발한다고 하는데요

성별
남성
나이대
43

안녕하세요

피로 물질인 젖산이 근육통을 유발한다고 하는데요 이 젖산은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그리고 젖산이 근육통을 유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젖산은 격렬한 운동 중 근육이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할 때 무산소 호흡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그 부산물로 젖산이 축적됩니다. 젖산이 근육통을 유발한다는 오래된 믿음이 있었으나 실제로는 젖산 자체가 아닌 미세한 근섬유 손상과 그로 인한 염증 반응이 근육통의 주원인입니다. 젖산은 근육에 쌓이면 일시적인 산성화로 피로감을 줄 수 있으나 운동 후 빠르게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다시 사용됩니다. 적절한 휴식과 수분 섭취로 회복을 돕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젖산(유산)은 우리 몸이 격렬한 운동을 할 때 산소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 몸은 산소를 이용해 포도당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지만, 격렬한 운동 중에는 산소가 부족해져 무산소 호흡이 일어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젖산이 부산물로 생성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근육통의 주된 원인은 젖산 자체가 아니라 운동 중 발생하는 근섬유의 미세손상이라고 합니다. 젖산은 오히려 근육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되며, 운동 후 24-48시간에 나타나는 지연성 근육통은 운동 중 발생한 근섬유의 미세손상과 그에 따른 염증반응이 주된 원인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거나 심각한 통증이 있다면, 운동 강도를 조절하거나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운동을 할 때 근육에서는 ‘젖산’이 생성됩니다. 피로물질로 알려진 젖산은 체내에서 분해되어 배출되거나 간에서 재순환되는데, 이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근육 피로와 경련 확률이 높아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과거에는 근육통의 원인이 젖산이라고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젖산은 운동 중 대부분이 산화되고, 나머지는 포도당과 아미노산으로 전환되어 세포에서 바로 사용되거나 혈액을 타고 이동하여 다른 세포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운동 후 통증의 원인으로 다수 전문가들이 지지하는 의견은 손상된 근육이 회복하는 과정에서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염증이 통증, 부종, 열감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젖산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근육 운동 시 에너지 필요성 증가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인한 무산소 대사 발생

    포도당이 피루브산으로 분해됨

    피루브산이 젖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젖산으로 전환

    이 과정을 통해 근육 세포 내에 젖산이 축적됩니다

    그리고 젖산이 근육통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아닙니다 근육통은 활성산소와 근섬유의 손상으로 인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운동이나 격렬한 신체 활동 중에 에너지가 필요할 때, 우리 몸은 주로 포도당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산소를 충분히 사용할 수 없을 때는 무산소성 대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젖산이라는 물질이 생성됩니다. 젖산은 피로 물질로 알려져 있지만, 그 자체가 근육통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운동 후에 경험하는 근육통은 주로 지연성 근육통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이는 근육의 미세한 손상이나 염증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젖산은 운동 후 빠르게 제거되기 때문에 근육통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그렇지만 운동 중에 젖산이 빠르게 축적되면 일시적으로 호흡이 가빠지고 근육이 피로해지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근육의 pH를 낮추어 효소 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운동을 하게 되면 산소를 선호하게 되는데 그 정도가 늘어나게 되면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신체에서는 포도당을 분해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젖산을 만들게 됩니다. 과거에는 이 젖산을 필요 물질이라고 보고 근육통의 원인이라고 보았으나. 최근 들어서는 젖산이 근육통의 원인이라기 보다는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이 근육통의 원인이라고 보는 시각이 더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젖산은 무산소 운동 또는 격렬한 운동 중에 근육 세포가 에너지를 빠르게 필요로 할 때 생성됩니다. 젖산 축적이 운동 중 일시적인 근육 피로를 유발할 수 있지만, 운동 후 빠르게 제거되며 장기적인 근육통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병제 의사입니다.

    젖산은 무산소 상태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낼 때 생기는 물질로, 운동 중 특히 강도가 높은 운동에서 근육의 높은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포도당을 산소 없이 분해하며 만들어집니다. 젖산이 축적되면 근육 내 산성도가 높아지고, 이것이 운동 중 타는 듯한 느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운동 하루 혹은 이틀 후에 나타나는 통증인 지연성 근육통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