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장난감솜사탕316
장난감솜사탕316

몇백년된 바이올린이 아직까지 멀쩡하고 소리도 엄청 좋다고 추앙받는 이유가 뭔가요?

유명 연주자들이 쓰는 몇백년된 바이올린이 수십억원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하고

소리도 엄청 좋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실제로 몇백년동안 변형이나 망가짐없이 어떻게 잘 유지가 되는지, 정말 소리가 몇백년되면서 숙성(?) 되서 좋다고 하는건지 그때와 지금의 기술력 차이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1714년 이탈리아 바이올리니스트 주세페 타르티니는 바이올린을 연주하다 이상한 음을 발견했습니다. 두 개의 음을 동시에 연주했는데 출처 미상의 세 번째 음이 들린 것이지요. 이 음은 "결합음"으로 명명이 됐고 진동수가 서로 다른 두 음을 동시에 들었을 때 두 음의 진동수의 합과 차이에 해당하는 음이었습니다. 그동안 이 결합음은 사람의 귀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분석이 돼 왔는데 사람의 귀가 비선형적으로 소리를 듣기 때문에 실제 결합음이 발생하는 것이 아닌 머릿속에서 존재하는 음이었다는 분석입니다. 그런데 이탈리아 과학자가 결합음이 실제 바이올린에서 발생하며 오래된 악기일수록 결합음이 강력하다는 연구 결과를 내 놓았죠 연구팀은 전문 바이올리니스트를 고용해 5개 종류의 바이올린을 연주하도록 했는데 1700년대 이탈리아 볼로냐 지역에서 만들어진 바이올린 19세기 영국산 바이올린 최근 공장에서 만들어낸 바이올린 등으로 연주를 한 결과 바이올린들에서 실제 결합음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거에 만들어진 바이올린 일수록 결합음은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1700년대 바이올린 이 현대 바이올린보다 약 75 %가 컸다고 합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오래된 악기일수록 결합음이 강력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아 결합음 때문에 소리가 풍부해지고 좋은 바이올린이라고 느끼게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선은 오래된 바이올린 같은 경우는 바이올린을 만드는 나무에서 부터

    차이 많이 납니다.

    바이올린을 만드는 나무중에 스프루스는 그 당시에 기온이 평균적으로

    낮았던 시기라서

    나무의 밀도가 높아서 풍부한 음을 내기 위해 최적의 요건을 갖혔기 때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