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조그만갈매기201
조그만갈매기20123.05.17

스트라디바리우스는 왜 최고가 되었나요?

흔히들 현악기 중 바이올린의 최고는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말하잖아요
특히나 명장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가 만든 바이올린들이 현재까지도 최정상급 바이올린으로
꼽히고 가격 또한 천문학적인데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300년 동안 유지되는 비법도 궁금하고
현대의 과학이 접목된 기술로 더 뛰어난 바이올린 제작은 안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만의 독특한 목재 처리와 디자인으로 인해 , 복제가 거의 불가능한 특유의 소리를 냅니다.

    또 스트라디바리우스가 제작 될 당시 유럽은 소빙하기라 칭하는 기간이었고 이 기간은 1645~1750년까지 지속되었고, 북 크로아티아의 단풍나무를 썼기 때문인데 이 목재는 추운 겨울로 인해 밀도가 상당히 높았고 소빙하기동안 크로아티아는 더 추웠고 그로 인해 밀도가 더 높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가 제작한 현악기가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약 500개 정도라고 합니다.

    왜 최고인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는데, 최근 합리적인 결론은

    극한의 추위에서 자란 나무이기 때문에 밀도가 우수하다는 것과,

    그가 만든 것처럼 재현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도 맑고 아름다운 음색을 내는 것은 제작자가 나무를 갉아 먹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화학처리 한 것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악기는 기술보다는 나무 재질 과 시기가 중요하며 그리고 아무리 과학기술이 발달해도 하루만에 오늘 만들걸 10년 30년 묵게 만들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지구 온난화 등으로 좋은 나무 생산도 어렵구여 ㅎ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만의 독특한 목재 처리와 디자인으로 인해, 복제가 거의 불가능한 특유의 소리를 낸다. BBC의 다큐에서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소리에 대해 다뤘었다. 분석결과, 여타 바이올린과 구조가 조금 달랐다고 한다. 울림통의 f-형 구멍은 대부분의 바이올린에서 대칭이지만,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은 살짝 대칭이 어긋났다고 한다. 시각적 완벽함을 버리고 오직 청각적인 완벽함을 추구한 장인정신과 그 연구결과라고 보여진다.[4] 또한 악기 위에 칠해진 완벽한 비율의 바니쉬가 스트라디바리우스를 특별하게 하는 이유중 하나라고 한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