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와우와우위
와우와우위

왜 모든 생명들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나요?

왜 모든 생명들은 그 기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수명이 존재하고

그 수명이 다하게 되면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일까요?

영생하는 생명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생물학적으로 모든 생명이 결국 죽음을 맞이하는 이유는 생명체는 완벽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쇠퇴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노화입니다. 세포의 손상과 기능 저하가 누적되어 신체 기능이 점차 쇠퇴하는 현상으로 비유하자면 기계가 오래 사용될수록 부품이 마모되어 고장나는 것과 비슷합니다.

    또한 바이러스나 세균 등 외부 침입자에 의한 감염이나 유전적 결함으로 인한 질병은 생명체의 기능을 정상적이지 않게 만들고 결국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극한의 온도나 독성 물질, 자연재해 등 외부 환경의 변화는 생명체가 살아남기 어려운 조건을 만들고 역시나 죽음을 야기할 수 있죠.

    결국 생명체는 에너지를 소비하며 살아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노폐물이 발생하고, 세포는 손상되며, 에너지 효율은 떨어집니다. 즉, 생명체는 끊임없이 소모되는 존재이기 때문에 영원히 살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생명을유지하기위해 계속해서 세포분열을하는데,
    이 세포분열의 횟수는 정해져있기때문입니다.

    보통 유전자 끝단의 텔로미어라고하는 부위는
    세포분열을 반복할수록 계속 짧아지는데,
    더이상 짧아지지 못하면 분열을하지못합니다.

    조직이재생이안되는 부위는 더이상 정상기능을하지못하고
    신체전체에 문제를 일으키면서
    죽음에이르게합니다.

  • 모든 생명체가 결국 죽는 이유는 세포의 노화, 유전적 한계, 외부 환경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세포는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가 짧아지며, 이로 인해 세포 기능이 약화되고 결국 생명 활동이 멈추게 됩니다. 또한, 환경적 요인이나 질병으로 생체 기능이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일부 생물, 예를 들어 불로초해파리처럼 특정 조건에서 퇴행성 변화를 통해 다시 어린 상태로 돌아가는 사례가 있지만, 이를 통해 영구적 생명을 유지하는 생물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영생하는 생물도 있지만, 매우 드물다고 보시면 됩니다. 모든 생명은 '텔로미어' 의 길이가 끝까지 짧아지면 세포가 더 이상 재생을 못 하고 죽는다고 보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생명을유지하기위해 세포가 분열하는 작업은
    한계가 있기때문입니다.

    특정횟수이상 세포가 분열하면 더이상 분열하지못하고
    신체 전반적으로 재생작업이 느려지면서
    노화되는속도보다 느려집니다.

    이로인해 신체 기능이상이 발생하며 죽음에이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