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소탈한하늘소43
소탈한하늘소4323.03.22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병원은 어디였나요?

개화기때부터 서양의 의술도 우리나라로 보급된것으로 아는데요, 그러면 우리나라에 최초로 설립된 서양식병원은 어디인가요? 그리고 그 병원 지금도 유지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은 알렌의 건의로 고종이 설립한 광혜원입니다. 뒤에 이름을 제중원이라 하였고요,

    지금의 세브란스 병원의 전신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2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은 미국인 선교사가 1885년에 만든 광혜원입니다.

    선교사들은 대부분 의사를 겸임하였는데, 알렌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알렌은 갑신정변 때 부상을 입은 명성황후의 조카 민영익을 치료해 준 인연으로 고종의 총애를 받게 되었고,

    고종의 도움으로 광혜원을 세워 운영할 수 있었어. 이 병원은 나중에 제중원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대한 제국 시대인 1899년에는 국립 병원인 광제원이 세워졌습니다.

    이 병원은 서양 의술과 한방 의술을 모두 할 수 있는 병원으로 1907년에 ‘대한 의원’으로 이름을 바꾸어 환자 치료뿐 아니라 의료 요원까지 양성했습니다.

    1904년에는 세브란스 병원이 설립되어 가난한 환자의 치료에 힘썼으며, 1909년에는 각 지방에 도립 병원인 ‘자혜 의원’이 세워져서 지방 사람들도 서양 의술에 의해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어디서 병을 고쳤을까? (장콩 선생님과 함께 묻고 답하는 한국사카페 2, 2011. 9. 30., 장용준(장콩), 서은경)


  •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광혜원은 조선 최초의 서양식 병원입니다.

    1885년에 세워졌으며 '큰 은혜를 입은 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호를 개방한 이후로 조선은 의료 시설을 근대화할 계획을 세우고 일본에 사절단을 보내 서양식 병원을 탐색하였습니다.

    마침 미국에서 온 선교사 알렌이 갑신정변 우정국 사건에서 부상을 입은 민영익을 서양의술로 살리면서 서양식 국립병원을 설립하고자 속도를 내게 되었습니다.

    고종은 알렌의 병원 설립 건의를 받아들여 1885년에 서울 재동에 광혜원을 설치하였고, 이후 광혜원의 이름을 '제중원'으로 바꾸었습니다.

    근대식 병원의 도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서양 의학의 도움으로 병을 치료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은 미국인 선교사가 1885년 만든 광혜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저도 궁금했던 내용입닏. ^^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은 1885년에 개원한 경희궁 안에 위치한 조선 왕실 의원입니다. 이 병원은 조선 시대에 있는 한의원과는 달리 서양의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진료를 시도하며, 의료 제도의 개혁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은 1885년에 개원된 경성보훈병원입니다. 경성보훈병원은 당시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병원으로, 일본인과 조선인 환자를 모두 수용하는 병원이었습니다. 경성보훈병원은 서양식 병원 건축 양식을 도입하고, 국제적인 의학 지식을 적용시키는 등 혁신적인 시도를 했습니다. 또한, 이 병원을 통해 서양 의학의 체계적인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져서, 당시 조선의 의학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