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휴일·휴가

Joyhayu
Joyhayu

연차 발생 기준에 대한 질문드려요??

2022년 11월 1일부로 입사 2024년 7월 31일부로 퇴사 하면 연월차 몇개 발생되나요? 연차발생시기가 매년 1월인가요 입사일기준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입사일 기준인지, 회계연도 기준인지는 회사의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근로자가 2022년 11월 1일에 입사하여 2024년 7월 31일에 퇴사하는 경우 재직기간 중 발생한 총 연차는 26개 입니다. 연차는 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산정하는게 원칙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입사일 기준이 원치입니다. 따라서 2022년 11월 1일부로 입사 2024년 7월 31일부로 퇴사 하면 26개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연차휴가를 입사일 기준으로 운영할지, 또는 회계연도 기준으로 운영할지 여부는 근로계약 및 취업규칙으로 정한 바에 따르게 됩니다.

    입사일 기준이라면 재직기간 중 총 26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성균 노무사입니다.

    별도로 1. 1. 등 회계연도 기준으로 정한다고 하지 않는 이상

    입사연도 기준이 원칙입니다.

    그렇다면

    22.11.1. ~ 23. 10. 31. 만근시 11개 발생

    23.11.1. 15개 발생 입니다.

    도움되셨다면 👍버튼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차휴가 발생 기준은 입사일 기준입니다.

    이에, 질문자님이 소정근로일을 개근하였다면 1년 미만의 재직기간 동안 발생하는 연차휴가 11일 + 23.11.01.에 발생하는 연차휴가 15일로 총 26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다만, 질문자님 사업장에서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부여한다면 11일 + 23.01.01.에 3일 + 24.01.01.에 15일로 총 29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