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아프로아프로
아프로아프로

자신의 자산을 이야기 할 때에는 대출을 껴서 말하나요?

자신의 자산을 평가하고 이야기 할 때에는

존재하는 대출을 모두 빼고 이야기 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그냥 갖고 있는 재산의 총 가치만 이야기 하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신의 자산을 이야기 할 때에는 대출을 껴서 말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산을 이야기 할 경우에는 자신의 전체 자산의 가치에서

    부채 (대출) 을 제한 나머지 순자산을 이야기 하게 됩니다.

    즉, 대출을 제외한 남은 가치가 순자산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은 나의 자산을 정확하게 말하는 것은

    나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부채를 포함한다면 아무래도 뻥튀기 될 가능성이 있기때문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말하는 기준이 다를 순 있습니다만..ㅎㅎ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데, 이렇다고 해서 그 집이 내것이 아니다라고 말하길 어렵잖아요?ㅎㅎ

    대출, 즉 부채도 어쨌든 자산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을 이야기할 때 대출을 포함할지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자산을 평가할 때는 순자산을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순자산은 총 자산에서 총 부채(대출)를 뺀 값으로, 개인의 재정 상태를 더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마다 다르게 바라볼 수 있는데, 자신의 신용상황에 따라 대출규모가 정해지고 그 돈으로 투자도 가능하기 때문에 자기자산으로 봐야합니다. (현실적으로 바라보면 빚이니 자산이 아니라고 볼 수도 있죠.)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래 자산이라는게 자본이랑 대출을 더한게 자산인거죠 대출도 자산은 맞습니다

    보통 집사도 대출껴서 사고 그걸 자가로 집이 생김 자산은 집 가격인거죠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

    근데 뭐 개인들이 말할때 대출을 포함하건 안포함하건 그게 크게 중요한거 같지는 않네용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신의 자산을 이야기할 때 대출을 포함할지 여부는 자산 평가의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자산을 총 가치로 이야기할 때는 단순히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가치를 나열합니다. 이 경우에는 현금, 주식, 부동산 등 자산의 총 가치를 말하며 대출은 언급하지 않습니다. 반면, 순 자산을 계산할 때는 총 자산에서 대출 및 기타 부채를 차감하여 실제 재정 상태를 파악합니다. 순 자산은 자산의 총 가치에서 부채를 뺀 값으로, 자신의 재정적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그래서 자신의 자산을 평가할 때는 총 자산 가치와 순 자산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론 상 자산은 자본+부채이기 때문에 대출도 포함되는 개념이기는 합니다.

    다만, 일상생활에서 돈 얼마나 있어? 얼마나 모았어? 라는 질문에서

    보통 부채는 제외하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본래 자산은 자신의 자본과 빚까지 포함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다만, 사람마다 자산을 이야기할 때 기준이 다르기에 자신의 자본만을 자산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고, 본래 자산을 자산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가지고 있는 자산만 얘기한다면 대출 같은 부채를 고려하지 않고 언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순자산(net asset)을 언급한다면 자산에서 부채를 빼고 남은 금액을 언급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일반적으로는 대출도 '자산'으로 보기 때문에 총자산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집값이 10억이고 내 돈이 6억, 4억이 대출이라면 그냥 10억짜리 집을 가지고 있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대략 부동산 이정도, 금융자산 이정도라 하며, 부동산엔 대출이 꽤 있어서 실제 순자산 얼마 안된다 정도로 얘기하죠!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자산을 얘기할때는 부채는 고려안하고 얘기하는게 맞는것같고 순자산을 얘기한다고 하면 정확히 부채는 빼고 얘기하는게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순자산이라고 표현하지 않는다면

    대출을 포함하여 말해도 무방할듯해요.

    그래도 상황에따라서 오해의소지없이 명확히 대출금도별도로 말하는것이 좋아요

  • 자산을 이야기할 때 대출을 포함하는지 여부는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자산의 총 가치를 이야기할 때는 대출을 제외하고 보유한 자산만의 총 가치를 언급합니다.

    이 경우, 자산의 순수한 가치만을 다루며 대출이나 부채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반면, 자신의 순자산을 평가할 때는 자산의 총액에서 대출 및 기타 부채를 차감하여 실제 순수 자산 가치를 계산합니다.

    순자산 계산은 재정적 건강을 평가하고 재산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자산의 총 가치와 순자산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대출을 말하지 않습니다. 아니면 대출을 제외하고 자산을 계산해서 이야기 하거나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을 평가할 때, 보통 순자산을 기준으로 이야기합니다. 순자산은 보유한 총 자산(부동산, 금융자산 등)에서 모든 부채(예: 주택담보대출, 소비대출)를 차감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즉, 자신이 가진 자산에서 대출과 같은 부채를 뺀 금액이 실제 자신의 순자산이며, 이를 기준으로 재정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총 자산(부채 포함)을 평가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어떤 기준으로 자산을 평가하는지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생각의 차이일 수 있고 언제 자산을 표현하는지에 따라 다를거 같습니다.

    보통 순자산가액을 말할때는 부채를 차감하지만

    일반적으로 자산을 표현 할 땐 부채가 껴 있는 자산도 포함합니다.

    자산과 부채를 합산하지는 않고 재무제표처럼 부채로 구입한 자산을 포함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