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독특한동고비207
독특한동고비207

아기에게 훈육을 해야하는 나이는 몇살인가요

사람들 마다 말이 다 다르던데 아기에게 훈육을 시작하는 나이는 몇살인가요? 만2세까지는 훈육을 하지 말라는 얘기가 많던데 너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이라기 보단 해선 되는 행동과 안되는것을

    확실히 구분하여 이야기 해야 합니다.

    일관된 양육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줍니다.

    돌만 지나도 아이는 눈치가 생깁니다.

    위험하거나 다칠우려, 남을 때리는 행동은 꼭 이야기하고

    단호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화내고 혼을 내고 물리적 모습을 보이는것만이 훈육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은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게 가르치고 해서는 안되는 행동은 하지 않도록 알려주는 것입니다. 만 24개월이면 말귀를 알아듣고 소통이 되기에 훈육을 하셔도 되지만 논리적인 설명보다는 부드럽지만 다소 단호하게 안되는 것은 안된다는 것만 알려주시고 만 36개월이 되면 아이 눈높이에 맞게 이유를 설명하고 전후 사정을 알려주시면서 교육해 주시면 됩니다.

    따라서 연령에 맞게, 아이의 이해 수준에 맞게 훈육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능하면 아이가 36개월 된 후에 훈육을 해주시는것이 좋을수있습니다.

    이전에는 아이를 많이 다독이고 안아주면서 애정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훈육은 어느정도 아이가 말귀를 알아듣는 시기에 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보통은 2-3세에 훈육을 시작합니다. 이때는 정확한 언어보다는 단호한 표정과

    음성으로 아이에게 잘못된 행동임을 인지시켜주시는 정도의 훈육이 좋습니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자신에게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키는 등의 행위를 훈육해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그나마 알아들을 수 있는 3세 이후에 훈육하는게 좋습니다. 그 전에는 잘 들어주시고 수용해주세요. 안전하지 못한 행동일때에는 훈육이 필요하구요. 잘한 행동을 할때에는 폭풍칭찬을 해주시는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알아듣는다면 그 시기 부터 훈육을 해주셔야 합니다.

    즉, 아닌 것은 단호하게 안돼 라고 말을 해주시면서 왜 그 행동이 안되는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 말귀를 알아 듣는 시기부터 시작되는 안돼! 지지야! 위험해!라고 하는 것이 훈육의 시작이라 볼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 선을 정해 지키도록 어린 나이부터 꾸준히 적용시켜 주시고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거부의사를 강하게 나타내거나 하면 안된다는 점을 강조해주세요.

    훈육에 앞서 아이의 심리상태에 대한 충분한 공감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양육시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분명하게 말해주는 훈육은 만3세 떄부터 하면 좋을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는 문제에요

    하지만 아이가 18개월만 되도

    인지가 크게 늘어서 어느정도의

    훈육과 제제는 필요하다고 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돌 정도만 지나도 훈육을 하여서

    올바른가치관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0살 아가들은 탐색하는 과정에서 뭐든지 입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아서 엄마들은 하루종일 안돼! 하지 마! 그만! 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훈육의 내용이 첫 돌 이전에는 주로 위험에 대한 저지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12개월이 지난 이후부터는 점차 옳은 행동과 옳지 않은 행동을 하나 둘씩 가르쳐 주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 훈육의 본격적인 시작이라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별히 아이가 성격이 까다롭고 건강에 문제가 없는 한 아이들의 반항은 재롱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아이의 안전에 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충분히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아이의 만족을 충분히 채워주면 자신감이 생기고 호기심도 왕성해집니다.

    그러나 귀엽다고 아이의 요구를 다 받아주는 것은 좋지 않으며, 엄마의 판단에 따라 단호히 거부할 때를 구별해 안 되는 일은 엄하게 훈계하는 것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