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박새245
알뜰한박새245

인간 수명의 한계는 어디까지 일까요?

옛날과 비교해보면 지금의 수명은 엄청나게 늘어났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건 의료업이나 음식 등 여러 가지가 발전을 해서 늘어난 거 같은데 미래에는 그런 것들이 더 발전을 해서 수명이 늘어나지 않을까요? 과연 인간 수명의 한계는 어디까지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의학적으로 질병을 정복하고, 안전이 확보되어도

    세포분열할수있는 한계가 명확하기때문에

    최대 120년정도까지 살 수있게될것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연구자들에의해면 약 115세에서 120세까지 최대수명이 늘어날 수 있을것이라고합니다.

    해당수명위로는 물리적으로 세포재생에 한계가있기때문에 불가능할것이라고 합니다.

  • 사실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과거에는 인간 수명이 120세를 넘기 어렵다는 주장이 지배적이었지만, 의학 기술의 발달과 생활 환경 개선으로 인해 평균 수명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평균 수명의 증가이고, 개개인의 최대 수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더 필요한 상황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인간 수명의 절대적인 한계를 115세 정도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통계적인 분석 결과이며, 개개인의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노화를 질병으로 보고 이를 치료하려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만약 노화를 완전히 극복할 수 있다면, 이론적으로는 인간의 수명은 무한에 가까워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인간의 수명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결정된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입니다. 장수 유전자, 건강한 생활 습관, 의료 기술의 발달 등 다양한 요소들이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간 수명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지만 인간 수명의 한계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앞으로의 연구 결과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 인간 수명의 한계는 아직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지만, 현재 과학계에서는 약 120세에서 130세를 생물학적 한계로 보고 있습니다. 옛날보다 수명이 늘어난 것은 의료, 위생, 영양 상태의 발전 덕분이며, 앞으로도 유전자 치료, 노화 연구, 인공지능 의료 기술 등이 발전하면서 이 한계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수명을 단순히 연장하는 것뿐 아니라 건강하게 사는 기간을 늘리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현재 인간의 수명은 의료 기술과 생활 환경의 발전 덕분에 크게 증가했지만, 최대 수명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여겨집니다. 보통 인간의 최대 수명은 120세 전후로 보고되며, 이는 유전자와 세포 노화, 질병 등 생리적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미래에는 유전자 치료, 줄기세포 연구, 노화 방지 기술 등이 발전하면서 수명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지만, 무제한적인 수명 증가에는 여전히 많은 과학적 도전이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수명은 점차 연장될 수 있지만, 그 한계는 쉽게 극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미래의 의료 기술과 영양학 발전으로 수명이 더 연장될 가능성이 커요

    그러나 인간 수명의 한계는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 지룻 있을것으로 예상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