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09.27

근대 애국 계몽 운동은 어떤 시기에 일어났으며, 어떤 목표와 원칙을 가지고 전개되었나요?

근대 애국 계몽 운동은 어떤 시기에 일어났으며, 어떤 목표와 원칙을 가지고 전개되었나요? 애국 계몽 운동은 어떤 방법으로 국민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국가의 독립과 자주주의를 증진시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1904년 한일의정서와 한일협약을 통해 일본의 위협에 더욱 직면, 1905년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후 을사늑약으로 국권의 일부를 상실하게 되며 을사늑약은 일본군이 왕궁을 포위한 가운데 고종이 끝내 거부해 정식으로 체결된 적은 없으나 일본의 공작에 의해 통감부설치와 조선의 외교권 박탈이 기정사실화 되었습니다. 이러한 위기에서 1907년 의병이 다시 일어나 무장투쟁의 길로 나서는데 애국계몽운동은 그와 별개로 무장투쟁을 배제하는 지식인 관료 ,개명 유학자 등에 이루어졌습니다.

    을사늑약을 전후해 학교 설립과 신문, 잡지의 발간, 산업 진흥 등을 통해 경제적, 문화적 실력을 양성함으로 점진적으로 국권을 회복하려는 운동을 전개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애국계몽운동은 1905년-1910년 사이에 개화자강파의 국권회복을 위한 실력양성 운동을 총칭하는 역사적 개념입니다. 한민족은 1905년 11월 일제에 의해 을사조약이 체결되어 국권의 일부를 빼앗기자 새로이 새로이 당면한 과제로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합니다. 계몽운동은 1905년 전에도 있었고 1910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지만 여기서는 1905-1910년 사이의 애국계몽운동을 말하는데 문화운동 뿐만 아니라 신교육구국운동 언론계몽운동 실업구국운동 국채보상운동 신문화-신문학운동 국학운동 민족종교운동 해외독립운동 창건 운동 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애국계몽운동은 독립협회 계열의 문명개화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점에서

    위정척사파 유생들이 주축이 된 의병과는

    달리 근대지향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 애국계몽운동 진영에서는

    의병운동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반대로 의병들도

    애국계몽운동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