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우리나라 싱크홀은 1년에 얼마나 발생하나요?

우맂나라에 요즘 싱크홀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싱크홀은 다양한 원인으로 생기긴 할텐데요. 이런 싱크홀은 1년에 얼마나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싱크홀은 자연재해 및 인재로 인해 크고 작은 싱크홀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크고작은 지반 침하의 싱크홀 수십건 이상신고가 급증하고 있으며 대도시인 서울, 부산, 인천 등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싱크홀 민원 접수가 작년 보다 510% 증가하였으며 국토교통부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사고는 약 867건이발생한다고 합니다. 지역마다 크고작은 싱크홀의 차이가 있겠지만 서울시의 경우 연간 수십건의 싱크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는 물론이고 사회기반시설 마비까지 초래되어 도시의 안전문제가 심각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후 하수관로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지반 침하발생되지 않도록 안전점검 및 대비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2020년에서 2024년 동안 발생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도          발생건수         비고

    2020년       95건       코로나로 도심 활동 감소

    2021년      128건       장마철 집중 발생

    2022년      142건      노후 하수관 영향

    2023년      157건       지하 공사 집중구간 증가

    2024년      169건       도시 확장과 지반 약화 

    2025년 1~4월 동안 전국에서 보고된 발생량은 약 130건 정도입니다. 지역별로 서울시 38건, 경기도 26건, 대구/부산 등 대도시 30건 이상, 기타 지역 36건입니다.

    표에 나오는 비고 내용은 각각 다른 것 같지만 노후 배관의 누수나 지하 공사 중에 배관을 파손시켜서 발생한 싱크홀은 꾸준히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도시가 형성되면서 매설된 배관들의 수명이 다되어 가기 때문에 누수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그럼에도 교체공사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쉽사리 교체하지 못할 것입니다. 가장 노후된 배관부터 순차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계획 수립을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