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08.14

경제학자들이 보는 미래경제는 어떻게 예측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코로나 위기를 가까스로 넘기기는 했지만, 여러 가지로 현재는 고물가와

고환율 등 여러 가지 경제를 위협하는 요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혹자는 제2의 IMF가 올지도 모른다고 예측한 학자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앞으로 우리 나라를 비롯한 세계경제는 어떻게 흘러갈지 궁금해집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계적으로 다들 곤란한 상황입니다

    소비도 줄고 있고 .세계적으로 러우전쟁이 끝나고 국내 총선이나 미국 내년 대선에

    많은 분들이 주목하고 있죠 아무래도 정치나 외교의 힘이 절실할 때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경기 전망은

    세계의 유명 석학들도 틀리기 부지기수입니다.

    어떠한 위기가 올지 아무도 알 수 없기에

    현재와 같은 불안한 시기에는 다소 보수적으로

    접근하시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미국의 인플레이션 재상승의 원인은 에너지 가격의 상승으로 보여지고 있어요. 그런데 이 에너지 가격의 상승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서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인한 것이다 보니 인플레이션은 낮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서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판단되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개인들의 부채가 너무 위험한 수준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다만 가장 우려스러운것은 대부분의 국가들이 부채가 너무 증가한 상태라는 것이에요. 그럼 결국에는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을 것이고 어느 타이밍 중 하나는 세수를 늘려야 하는 선택을 해야 할 것으로 보여요. 그래야지만 지출보다 세수를 늘려서 늘어난 부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인데 현재로서 세수를 늘릴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단시일내에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는 있어도 IMF가 발생하는 상황까지 가기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