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나라만 전세라는 개념이 있는건가요??
해외를 보면 자가 아니면 월세더라고요.
자가는 세금이 엄청나서 거의 다 월세로만 살던데, 외국은 전세라는 개념이 없다고 하더라고요.
왜 우리나라만 전세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주거의 안정성을 위해 전세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월세는 고정비가 지속적으로 지출되기 때문에 부담이 될 수 있지만 목돈이 있다면 월세를 내지 않고 목돈을 내고 거주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과거 한국의 금융 대출 시장이 미성숙했을 때, 집주인이 거액의 보증금을 통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었습니다
1970~80년대 도시로의 인구 집중이 가속화되면서 주택 부족 문제가 발생했고,
전세가 이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등장했습니다.
과거 금리가 낮았던 시기에 전세 보증금으로 투자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집주인에게 유리한 구조였습니다.
세입자는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기고
월세를 내지 않거나 아주 적은 월세(즉 반전세_를 부담합니다.
집주인은 보증금을 다른 투자에 활용하거나 자산으로 보유하기도 해서 서로가 윈윈하는 제도라서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전세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우리나라도 전세사기나 대출이자가 높은 관계로 월세로 찾는 비율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가 1970년 대 사업화가 되면서 도시로 사람들이 몰리게 되고 주택수요가 많아지자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집을 빌려주면서 돈을 받고 그 돈으로 투자를 하고 나중에 나간다고 하면 다시 돈을 주는 형태로 발전을 하면서 지금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만 전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인도나 볼리비아도 비슷한 형태의 전세제도가 있는데 이곳들은 금융시스템이 좋지 못해서 형성이 된 제도라면 선진국 금융시스템이 구축이 된 나라에서 전세는 우리나라가 유일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전세사기등의 문제들만 없다면 월세와 매매의 중간단계인 전세도 집주인과 임대인의 당사간에 합의가 된다면 좋은 제도라고 생각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에만 전세제도가 발달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금융 대출 시장의 미발달 : 과거 한국의 금융 대출 시장이 미성숙 했을 때 임대인이 거액의 보증금을 통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전세였습니다.
급격한 도시화 : 1970 ~ 1980년대 도시로의 인구 집중이 가속화되면서 주택 부족 문제가 발생했고 전세가 이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등장했습니다.
낮은 금리 환경 : 과거 금리가 낮았던 시기에 전세 보증금으로 투자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임대인에게 유리한 구조였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우리나라에 전세제도가 발달하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