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선행지수는 어떻게 산출되며 의미하는 방에 대해 궁금합니다.
올해 4월 미국 경기선행 지수는 전월보다 0.6% 떨어졌다고 컨퍼런스 보올경기기하강을고 합니다.의미국의 4월 경기선행 지수가 101.8로 저하했다고 하는데요.
경기선행지수는 어떻게 산출하며 의미하는 바에 대해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저도 경기선행지수에 대하여 속하는 항목들에 대하여 궁금했는데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살펴보게 됐습니다.
우선 경기선행지수는 6개월뒤의 경기상황을 미리 추정합니다. 즉 지수가 상승하면 6개월 뒤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봅니다. (정확히 6개월이라고 말할 수 없고 선행기간을 특정할 수 없음)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100을 넘어가면 경기호전을 말하고 100 미만이면 경기악화를 나타냅니다.
경기선행지수를 구성하는 구성지표(통계청 자료 참조)
1)재고순환지표(기업의 재고가 얼마나 쌓여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2)경제심리지수(기업이나 소비자들의 심리는 어떤지)
3)기계류내수 출하지수(수주는 어떤지)
4)건설수주액(건설수주는 어떤지)
5)수출입물가비율(수출품과 수입품의 수량적인 교환비율을 나타내는 지표)
6)코스피(주가지수는 얼마나 올랐는지)
7)장단기금리차
이 구성지표를 전월 대비 증감률을 종합하여 지수화합니다.
경기선행지수와 같은 경우 미국의 동시지표는 미국 50개 주 각각의 동시지표를 종합한 것으로 동시지표는 여러 가지 지표를 결합하여 현재의 경제 상황을 하나의 통계로 요약하게 됩니다. 이 중에는 비농업 단체 고용인원, 제조업에서의 평균 근로 시간, 실업률, 소비자 물가지수로 인한 임금 및 급여 지급금의 가치 강하 등이 포함됩니다. 각 주의 지표 추이는 해당 주의 GDP 추이에 맞춰 설정되니 참고하세요.
경기 선행 기수는 미래의 경제 활동을 예측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컨퍼런스 보드라는 곳에서 발표를 한다고 하며 주식 가격이나 제조업 주문 건축 허가와 같은 것들을 구성 요소로 삼아 산출합니다
지수가 상승하면 경제 확장을 의미하고 하락하면 경제 둔화를 예고한다고 합니다 이번 발표는 경제 전망에 대한 우려를 반영합니다.
질문해주신 경기 선행지수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됩니다.
경기 선행지수에는 가까운 장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하는 지표로
경제 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지표, 건축허가면적 등을 포함해서 산출하게 됩니다.
경기선행지수는 미래 경기를 앞서 알려주는 지표로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경제 지표(소비, 생산, 고용, 주가 등) 12개월 변화율을 종합하여 계산-> 각 지표별 영향력을 반영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
의미
*100을 기준으로
* 100 초과: 경기 확장 가능성 높음
* 100 미만: 경기 침체 가능성 높음
- 변화 방향:
* 상승: 경기 호황 지속 또는 개선 예상
* 하락: 경기 둔화 또는 악화 예상
4월 지수 하락 의미
*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 시사
* 향후 경제 지표 추이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