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봄이엄마
봄이엄마22.04.03

물건을 자주 던지는 아이 ㅜㅜ 문제있나요

엄청 활발하고 잘 노는 아이 입니다

안되는거와 되는것을 구별도 잘 하고요

저지레를 하면서도 집중력도 좋아요

다만 물건을 자주 던지는 경향이 있어요

안되는걸 알면서도 자주 그래서 ㅜ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소리를 질러도 좋게 타일러도 달라지지않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7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물건을 자주 던지는 아이에 대한 문제는 해당 아이의 개인적인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 자세히 관찰하고 아이의 성격, 개발적 요인, 가정 환경 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그러한 것을 놀이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이네요

    이러한 경우에는 소리를 지르거나 좋게 타이르거나

    훈육의 태도가 변하는 것은 좋지 않고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돌 같은 물건을 창문 밖으로 던지거나, 물건을 던져서 다른 사람이 다칠 가능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아이의 행동을 막으려고 하지 마세요. 이런 경우에도 아이를 혼내거나 타임아웃을 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아이는 재미있어서 한 자신의 행동에 갑자기 부모가 발끈하는 모습에 놀랄 수도 있고 의기소침해질 수도 있습니다.

    대신 아이가 던져도 되는 것을 주세요. 던져서는 안 되는 것과 던져도 되는 것을 확실히 구분하게 해주면 됩니다. 그래서 아이가 적당한 장소에서 적당한 물건을 던지며 놀 수 있게 해주세요. 만약 아이가 신발 같은 물건을 집어 던질 때에는 조용히 그 물건을 치우고 “이건 던져서는 안 되는 물건이야. 대신 이 공은 괜찮단다.” 하면서 무작정 못하게 막지만 말고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을 주어 그 욕구를 채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옥희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런 행동을 할때마다 세워놓고 눈을 독바로

    쳐다보고 안된다고 계속 말해보세요

    그러나 아이는 금방 잊고 또 하겠죠

    그럴때마다 반복적으로 하셔야합니다

    그래도 안고쳐 진다면 생각하는 의자나 손 들고 벌서기

    훈육을 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을 할때는 단호함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을 했을때는 모든 것을 멈추고 아이를 기다려주세요

    그리고 아이를 자리에 앉히게 한뒤 이야기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물론 아이가 자리에 앉지 않고 피하려고 할것이며

    이럴때는 손을 잡아주면서 이야기하는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자리에 앉고 손을 잡아줄때는 아이가 앉은 행동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진정된 부분을 칭찬해주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단호하고 짧게 물건을 던지면 안되

    라고 이야기해주면서 아이의 약속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것은 한번에 성공하기는 어려우며 지속적으로 일관성있는 훈육이 필요하니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궁금합니다.

    언급하신것처럼 안되는거 되는거 구별을 할 줄 아는 아이이면 1) 던지는 행동을 탐색 2)떨어지는 소리를 탐색 정도로 나눌수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아이가 탐색하는 중이라면 점점 소리가 안나는 물건(인형,종이컵등)으로 아이에게 탐색을 유도해주세요.

    특히 깨지는 물건의 경우도 상황을 자세히 알려주시면 아이의 탐색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은 모방에서 나올 수가 있습니다 처음에 무심히 던졌을 때 부모가 단호하게 얘기하지 않아서 행동이 습관화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위험한 물건을 던지려고 할 때는 무조건 빼앗는 방법 보다는 다른 놀이로 시선을 끌어 보시고 심하게 폭력적인 행동을 야단치실 때는 웃지 마시고 엄하고 냉담한 표정으로 아이를 혼내시는 게 좋습니다 전혀 야단치지 않고 아이의 실수조차 부모가 추수린다면 그건 못된 행동을 승인하는 것과 같습니다 벽을 보고 서있게 하거나 손을 들게 하든지 아님 조용히 방으로 데려가 엄격하게 야단을 치도록 하세요 아이는 때로는 자신감과 억압된 감정을 던지는 행동으로 표출하기도 하고 그런 행동으로 인해 감정이 해소 되기도 합니다 우선 마음껏 던지고 무너뜨리는 블록쌓기 놀이 같은 것을 많이 주셔서 감정을 충분히 해소 시켜 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던지는것이 잘못된 행동이라 아이에게 인지시켜주시길 바랍니다. 아이 스스로 이렇게 하면 안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게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던질때마다 아이에게 훈육을 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아이가 물건을 던질때 좋게 말한다면 잘못된 행동인지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되는거와 되는거, 집중력도 다 좋은데, 물건만 던지는 이유는 아이의 욕구가 덜 채워졌거나, 스트레스를 평소에 물건 던지는 걸로 푸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이 아이의 행동을 잘 관찰한 후 불편한 게 있으면, 아이의 욕구를 채워 주시고, 밖에서 충분히 뛰어 놀 수 있게 해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프로이트의 유명한 사례가 떠오르네요. 실제와 정확히 맞아 떨어질지는 모르겠습니다. 포르트 다 라고 아이가 물건을 던졌다가 사라지는 게임같은 것에 반응하는데 결론적으로 부모님이 사라졌을 때 그것을 싫어하는 분리를 거부하는 반응이었습니다.

    혹시 부모님이 아이를 놔두고 외출하시지는 않는지요? 만약 그렇다면 그걸 표현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부모님의 반응을 즐기는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럴경우는 무덤덤하게 반응하거나 반응하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평소 부모가 아이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편이라면, 부모의 관심에 목말라 관심을 끌려고 이런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물건을 던지면 소리가 나고, 그러면 부모가 즉각적으로 반응을 하면서 만사 제쳐두고 달려오니까요. 아이가 부모의 관심을 얻기 위해서 문제행동을 하는 경우 부모는 과잉반응을 하지도, 지나친 관심을 보이지도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이런 행동이 계속되면 짧고 단호하게 “던지는 행동은 좋지 않단다. 하지 마라. ”라고 말해주세요. 아이는 부모의 목소리 톤과 분위기의 미묘한 차이를 구별하고 ‘아! 내가 이런 행동을 하면 우리 엄마, 아빠가 좋아하지 않는구나. ’하는 것을 알아차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쁜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적절한 훈육을 하셔야겠습니다.

    다만,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무 의미 없이 던지는 경우는 놀이로 생각할 수 있어서 그럴 수 있으니, 던질 수 있는 농구나, 투호, 과녁 맞추기 게임을 함께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의미 없이 던지는 게 아니고, 아이가 화가 나서 던지는 거라면, 아이의 감정이 가라 앉았을 때 물어 보는게 더 효과적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물건을 집어 던져야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는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아이가 물건을 던지기 전에 먼저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해주면 던지는 횟수가 줄어들 거라 생각해요

    또는 물건을 의인화 시켜서 리얼하게 연기해주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아이가 장난감 차를 던지면 '아야야 너무 아파 흑흑 나를 던지면 어떡해? 나는 너의 친군데 너무 슬프다'

    이런 식으로 연기를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의 화난 원인을 파악한 후 그 후에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서운했거나 속상한 아이의 마음에 엄마가 동감을 해주면 아이는 울음을 터뜨리는 경우가 많아요..

    어른도 힘들 때 내 편이 되어주면 기분이 풀어지듯 아이의 마음도 그럴 겁니다

    울음은 마음속 응거리를 풀어주고 공격성을 줄여주니 꼭 아이의 마음을 달래주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