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에 노년 문학의 역할이 무엇인가요?
대한민국은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였습니다.
최근에는 노년의 삶과 기억을 다룬 문학이 늘고 있는데
고령화 시대에 노년 문학의 역할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최근에 노년의 삶과 기억을 다룬 문학이 늘고 있다는 것은 현 사회가 초고령 사회로 들어서고 있기에 그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경종을 울리기 위해 작가들이 역할을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노년 문학이라는 것은 사실 그 분류가 있는 것은 아니고 노년의 삶을 다루는 것은 사실상 인간의 본질과 존엄성 등에 관해 꾸준히 제기해왔던 주제였습니다.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도 그러한 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 들면서 우리 나라도 노년 문학이 점점 더 중요 해 집니다. 노년의 건강과 행복, 노년기의 쾌락과 욕망, 고통과 죽음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노년 인문학을 하나의 카테고리도 범주화 해야 합니다. 노년 인문학을 통해서 노인들의 정신적, 사회적 , 개인적 생활을 성찰 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초고령 사회에서 노년 문학의 역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로, 문학은 노년 세대에게 자신의 삶을 긍정하고 공감과 위로를 전하는 자기 긍정의 거울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노년층이 겪는 복합적인 감정과 경험을 문학을 통해 위로받고, 지금까지의 삶을 긍정하며, 남은 생의 의미를 재발견하게 해주는 역할이라 하겠습니다. 두 번째로, 젊은 세대가 부모 세대를 깊이 이해하여 세대 간의 편견을 줄여주는 다리의 역할이 있겠습니다. 이는 문학을 통해 젊은 세대가 가지고 있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없에주고 그로 인하여 세대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문학의 긍정적 역할이라 하겠습니다. 세 번째로, 한 시대의 사라져가는 기억과 역사를 보존해주는 기록의 역할입니다. 노인들이 겪은 전쟁의 참상, 산업화와 민주화의 과정 등은 우리 모두의 공통된 역사입니다. 문학은 이러한 경험들을 보존하고 기록하여 공동체의 역사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세대에게 '어떻게 늙어갈 것인가'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는 나침반의 역할입니다. 노화와 죽음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입니다. 문학은 우리 모두가 피할 수 없는 쇠약과 소멸과 같은 근원적 질문을 제시함으로써, 어떻게 존엄한 노년을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해준다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