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무역 적자가 심하다고 하는데 원인이 궁금하네요.
대중국 무역 적자폭이 많이 늘어났다고 뉴스기사를 봤습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우리가 수입하는 게 많다는건데 어떤걸 많이 수입하는지도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2023년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중국으로의 수출의 급감이 주요 이유로 꼽힙니다.
또한 품목적으로도 연관이 있는데, 품목별로 보면 최대 품목인 메모리반도체 수출이 207억1600만 달러로 무려 37.9%나 줄었다고 합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가 중국에서 많이 수입하는 물품은 전자직접회로(반도체),히드라진·히드록실아민과 이들의 무기염, 그 밖의 무기염기·금속산화물·금속수산화물·금속과산화물, 축전지(2차전지), 전화기 등이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가 중국으로 부터 수입하는 원자재들의 경우 가격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수입액을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자체적으로 중간재 생산, 경기침체 등으로 이하여 우리나라로부터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적자가 심화되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2023년 대중국 적자는 180달러 정도 입니다. 대표적인 흑자품목이었던 중간재나 전자, 화학제품 등의 수출이 급감하였으며, 중국산 핵심광물을 중심으로 대중국 수입의존도가 상승하여 대중국 적자가 심화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한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적자가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원인과 주요 수입 품목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가 주된 원인입니다. 최근 세계 경제의 둔화로 인해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전자제품과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무역 적자가 확대되었습니다. 반면 중국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면서 한국에서의 수입 증가를 보였습니다. 특히 중국 내부에서의 코로나19 봉쇄 정책과 부동산 시장의 둔화가 중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중국에서 한국으로의 주요 수입 품목은 다양한데, 철광석, 석유, lng, 석유화학 소재, 전자 부품 등의 중간재와 스마트폰, 컴퓨터, 가전제품, 섬유제품, 기계류 등의 완제품이 주를 이룹니다. 특히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중국산 에너지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한국 기업의 수입 비용이 증가한 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강화를 통해 무역 불균형을 개선하고, 미국, eu, asean 등 다른 시장으로의 수출 다각화를 촉진하며,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고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무역 적자가 지속될 전망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정부 정책과 기업의 노력에 의해 완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은 중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시장 다변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