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많이사랑스런늑대
많이사랑스런늑대

냉방병 증상과 치료방법 알려주세요!

성별
여성
나이대
31

안녕하세요.

요즘 날씨가 더워져서 에어컨 가동을 많이하는데요.

에어컨 바람이 바로 오는 자리에 항상 앉아있다보니 냉방병 걸릴까봐 걱정됩니다.

냉방병 증상은 무엇이고 걸렸을때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냉방병은 냉방이 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오랜 시간 머무를 때 나타나는 가벼운 감기, 두통, 근육통, 권태감, 소화불량 등의 임상 증상을 일컫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이는 엄밀히 말해 의학적인 용어는 아닙니다. 냉방병은 여름철 신체가 고온에 적응된 상태에서 지나치게 차가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합니다

    . 실내외 온도 차이가 58℃ 이상 되면 말초혈관의 급격한 수축과 혈액 순환의 이상, 자율신경계 기능의 변화가 일어나 냉방병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 심폐 기능 이상, 관절염 등의 만성 질환을 가진 분들이 더 취약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뇌 혈류량 감소로 인한 어지러움과 졸음, 두통, 장운동 변화로 인한 소화불량, 복통, 설사 등이 있으며, 근육 수축 불균형으로 인한 근육통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호르몬 변화로 인해 생리 불규칙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얼굴과 손, 발 등에 냉감을 느끼고, 얼굴이 화끈거리며,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나타나고, 체내에서 열을 보충하기 위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일부 환자들은 감기 증상이 잘 낫지 않는다고 호소하기도 합니다.

    냉방병은 여름철 장기간 냉방에 노출된 후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진단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 레지오넬라증과의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레지오넬라증은 에어컨 냉각수에서 번식한 레지오넬라균이 퍼져 발생하는 질환으로,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잘 나타납니다. 냉방병의 대부분의 증상은 냉방 환경을 개선하면 호전되며, 증상이 심할 경우 각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고열, 기침, 근육통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경미한 증상은 냉방 기구 사용을 중단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취하면 호전될 수 있으나, 고열, 기침, 근육통 등의 심한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를 5℃ 정도로 유지하고, 외부 온도가 23℃ 이하일 때는 1℃ 낮게, 26~27℃일 때는 2℃ 낮게, 28~29℃일 때는 3℃ 낮게, 기온이 30℃일 때는 4℃, 31~32℃일 때는 5℃, 33℃가 넘으면 6℃ 정도 낮추는 것이 적당합니다.

  • 에어콘을 사용하는 실내과 실외의 온도차로 생기는 증상으로

    여름감기라고 불리는 것이 냉방병입니다

    두통, 콧물, 재채기, 코막힘, 몸살, 권태감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증상은 호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