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2025위시리스트
2025위시리스트

궁금증이 없는 사람은 생각 부족?

인간은 끊임없이 사고하는 동물이라고 하는데 사고를 떠나 궁금증이 없는 사람들도 정신적으로 부족하다고 봐야 할까요? 사고라는 건 어디까지인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상에 궁금증이 없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사고라는 건 끝이 어디인지 알 수 없는 미지의 영역입니다.

  • 인간이 사고하는 동물이라고 해서 시도 때도 없이 사고만 하는 것은 아니듯이

    사고는 호기심이 발동할 때 작동하는 감정이라고 봅니다.

    아동들, 나이 3-5세, 또는 8세 미만의 아동들이 호기심이 극에 달하는 이유도

    이런 감정들 때문일 것입니다.

    지금까지 자기가 경험한 것보다 너무 많은 것들이 펼쳐지는 것을 보면서

    호기심이 충만해집니다.

    호기심과 동의어가 궁금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궁금증이 없다고 생각이 부족한 사람은 아닙니다.

    때로는 멍때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다고 생각이 정지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의식하지 못하는 생각은 끊임없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간은 다양한 인지 능력과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개인은 보다 내성적이거나 사색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외적으로 호기심이 많거나 모험적일 수 있습니다. 개인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며 호기심이나 사고 방식에 따라 다른 사람의 정신 능력에 대해 가정하거나 판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