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약물치료가 필요한지 봐주세요...
안녕하세요 30대 초반 여자입니다
제가 지난달 극심한 스트레스 속에서 퇴사하고 한달동안 쉬다가 최근데 시차가 반대인 해외로 여행을 갔습니다..
솔직히 경제적으로도 심리적으로도 가기 싫었는데 이미 일찍이 계획됬던거라 다녀왔습니다
근데 거기서도 관광을 즐기는것과 별개로 개인적 사유로 매우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습니다
10시간 넘는 귀국 비행기안에서 힘들어하다 한국에 오니 오자마자 갠적으로 안좋은 일들이 자꾸 일어나서 혼자 우울+무기력 증세에 시달리다 잠으로 도피했습니다.. 씻지도 않고 3일동안 내내 잠만 잤습니다..
3일째 되는 오늘 겨우 아침에 일어나 밖에 나갔는데 커피를 마시거나 책을 보면 기분이 나아졌는데 겉잡을수 없는 우울감이 밀려와서.. 단순히 여행 후유증인가 했는데 지금 이시간 새벽, 제가 심각하다고 느끼고 글을 쓰게된 계기가 일어났습니다
해외여행 다녀온지 아직 3일째인데... 다녀오고나서 잠에서 깨면 계속 여기가 유럽인지 한국인지 비몽사몽 잠결에 두리번거리고 혼란에 빠집니다
한참을 여기가 유럽인지, 한국인지, 낮인지 밤인지 숙소라고 착각하다가 한참뒤에 정신을 차리고 여긴 한국이고 집이라는걸 깨닫는데..
이거 정신착란이고 심각한 정신병인가요?
모아놓은 돈이있어서 당장 경제적으로 궁핍한건 아닌데 제가 스트레스 받는건 개인적으로 앓고있는 강박증이 최근에 심해져서 입니다..
그로인해 일상에 안좋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자꾸 생각되고 불안하고 우울해서요...
뭔가 죽음에 대한 불안함이 갑자기 덮쳐왔습니다.. 아직 백수이긴한데 이거 정신병 초기증상인가요? 병원가봐야할까요? 신경과 가야될까요? 답변 부탇드립니다.. 진짜 갑자기 새벽에 일어나서 너무 두려움에 떨고있습니다
소위말해 현실과 꿈의 구분이 안되고 있는것같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현재 겪고 있는 혼란과 불안은 극심한 스트레스와 여행 후 시차, 강박증 심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3일간의 과도한 수면, 몽롱한 상태에서 유럽과 한국을 혼동하는 증상, 죽음에 대한 불안감 등은 일시적인 혼란일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방문을 고려해보시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심리적인 어려움과 관련된 전문적인 진단과 상담, 약물 치료 등을 제공하여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초기 상담을 통해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느끼는 두려움과 혼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일단 환자분이 현재 평소와는 다르다는 것은 인지를 하고 계시는 것이지요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해보세요
증상이라는 것은 어느 증상은 이 질환 어느 증상은 이 질환 이런식으로 일대일로
딱딱 맟주어서 매칭이 되는 것이 아니니까요
일단 환자분은 우울증이 심하시네요
그리고 말씀은 하지 않으셨지만 강박증이 평소에 있다고 하셨군요
꿈과 현실이 구별이 되지 않는 이인화의 경우 우울증의 증상으로 생길 수도 있지만
반대로 이러한 증상을 주로 하는 질환의 증상으로 우울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일단은 빠른 시일이내 병원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가장 먼저일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현재 겪고 있는 증상은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이 상당히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외 여행 후 정신적 혼란과 우울감, 불안함, 그리고 현실과 꿈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느낌은 정신적으로 매우 큰 압박을 받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죠. 이는 때때로 정신적 탈진이나 극도의 스트레스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강박증이 심화되면서 불안과 우울감을 더욱 부추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신착란이나 환각이 나타나는 것은 조금 더 심각한 상황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질문자님이 경험한 혼란은 인지적 혼동이나 해리 상태의 일환일 수 있으며, 이는 스트레스나 강박증, 심한 불안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증상이 계속되거나 일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면 정신과나 심리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불안장애, 우울증, 강박증 등과 같은 문제는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응급적인 상담을 통해 상황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필요시 약물치료나 정신적 안정감을 위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