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미국의 국채를 매입해서 문제라 지적받았던 최상목경제부총리는 요즘 금융권이 요동쳐 미국국채가 하락하면 손실을 보나요.

나이
47
성별
남성

일반적으로 안전자산이라 생각하는 긍 과 미국국채 달러중 미국국채 투매현상으로 미국시장이 출렁였는데요. 최상목경제부총리는 그럼 손실을 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미국 국채를 매입한 것이 문제가 된다는 지적은 그가 외환 정책을 총괄하는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미국 국채를 투자한 것이 이해 충돌의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미국 국채는 일반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지만, 최근 미국의 재정 적자 우려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관련 발언 등으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 최 부총리는 손실을 볼 수 있씁니다. 최 부총리가 외환 정책을 총괄하는 위치에서 개인적으로 미국 국채에 투자한 것은 이해 충돌의 소지가 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그의 투자 결정이 외환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채를 미리 매입한 당시에 국채 금리 및 가격에 따라서 추후 손해를 볼 수 있지만, 미국채가 망하지 않을 것이기에 손해가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국채 투매 현상으로 미국 시장이 출렁였지만,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직접적인 손실을 보기보다는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정부가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국채의 변동성은 글로벌 경제에 영향을 미치므로, 한국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채르 달러로 매입했기 때문에 평가액을 달러로 계산하면 마이너스겠지만 환율이

      10% 이상 상승했기 때문에 실제 원화로는 수익일 수 있습니다

    • 또한 국채를 팔지 않고 꾸준히 매월 이자를 받고 있기 때문에 손실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국채를 매입해서 문제인 최상목 경제 부총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만약 지금도 계속해서 미국 국채 매수한 것을 유지하고 있다면

    손실을 봤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개인 재산이기 때문에 매도가 되었는지 여전히 보유하고 있는지 알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은 매수할 때 금리보다 현재 금리가 상승했으면 손실 이고 매수할때 금리보다 현재 금리가 하락했으면 이익입니다

    물론 현재 금리에 팔았을때 기준이죠

    그러니 최상목총리가 샀을때 금리를 몇프로에 샀냐가 중요합니다 그 금리에 따라서 현재 금리 기준으로 손실인지 이익인지 확인이 가능하죠

    그런데 미국채는 현재 금리랑 무관하게 채권 만기까지 보유시 매수할때 금리로 만기에 다 받습니다 만기까지 보유하면 원금 손실 전혀 없이 확정된 수익인거죠!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상목 부총리께서 보유하신 미국 국채 말이죠. 현재 금융시장 상황을 보면 손실 가능성이 꽤 있다고 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국채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되긴 하지만, 금리 움직임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지금처럼 금리가 계속 오르는 추세라면, 기존에 발행된 채권 가격은 떨어질 수밖에 없어요. 마치 시소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특히 최근 미국 장기 국채 시장 상황이 좋지 않잖아요. 금리가 워낙 빠르게 오르면서 채권 가격이 뚝뚝 떨어지고 있으니, 30년 만기 국채를 보유하고 계신 최 부총리 입장에서는 평가액이 하락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고정 이자를 받으시는 건 맞지만,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 자체가 내려갔으니까요.

    환율 변동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원화가 약세고 달러가 강세면, 달러로 가지고 있는 자산 가치가 올라가서 채권 가격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일부 상쇄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채권 가격 하락폭이 워낙 커서 환차익만으로는 온전히 메우기 어려울 겁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시장 상황만 놓고 보면, 최상목 부총리께서 보유하신 미국 국채에서 손실을 보고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국채의 가격의 하락으로 평가손실을 보게 됩니다. 그러나 이를 만기까지 보유하게 되면 장부가는 그대로 받을 수 있으므로 해당국채를 만기까지 보유하게되면 손실은 보지 않습니다.

    다만 현재는 시장의 국채매도로 가격하락이 발생하여 평가손실이 발생한것이며 이를 유통시장에 실제 매도하면 확정손실로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미국 국채 매입은 시장 변동성으로 인한 국채 가격 하락은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