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해고·징계

핫한여새118
핫한여새118

귀책사유로 인한 징계해고 상실사유 선택 신고시 사업장과 근로자에게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아무런 연락도 없이 무단결근을 하여 관리팀의 연락에도 연락이 되지 않고 지속적인 5일이상의 무단결근이 발생하여 취업규칙에 의거하여 징계절차 거쳐 징계해고 된 직원에 대해 국민연금상실신고를 하려고 합니다.

상실사유는 26번 피보험자의 귀책사유에 의한 징계해고, 권고사직 또는 계약 파기 로 분류항목을 선택하니

이게 따른 구체적 항목은 다음 3가지였으며, 다음 3가지 중 선택해야하는 것은 몇번인가요?

01.근로자가 업무상 중대한 과실로 인해 취업규칙,단체협약 등으로 정한 징계해고 사유에 해당되어 징계하는 절차를 거려 해도된 경우

02.근로자가 업무상 중대한 과실로 징계해고에 해당하나 사업주가 권유해서 스스로 사직한 경

03.근로자의 업무상 과실(업무능력 미달포함)등 귀책사유가 징계해고 정도는 아니지만 사업주가 퇴직을 권유하겨 이직한 경우

01.번으로 선택하여 신고하였을때 사업장 과 근로자 각각의 불이익은 무엇이 있나요?

징계해고임에도 자진퇴사로 신고하였을때의 불이익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장기간의 무단결근으로 인하여 해당 근로자를 징계해고 하였다면 26-1번 코드로 상실처리를 하여야 할 것이며, 이 경우 사업장에 불이익은 없으나 해당 근로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무단결근을 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실업급여 신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