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사막위의오아시스
사막위의오아시스

금번 한미 정상간의 관세협의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금번 한미정상회담에서 개인적으로는 관세협의가 주 이슈중에 하나라고 생각하는데요. 전문가분들은 이번 관세협의의 결과를 어떻게 예상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는 결과가 나왔으나 사실상 관세 측면에서는 의미가 없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의 LNG 투자에 대하여도 한국의 기업들이 투자하기로 협의하였고 그리고 자동차나 일반 관세에 대한 내용이 없었기에 기존 관세율이 확정되니 것으로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세협의는 자동차나 첨단 부품 같은 민감 품목을 중심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은 자국 제조업 보호를 강조하고 있고, 한국은 수출 시장 안정화를 원하기 때문에 이해관계가 쉽게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양국 간 안보 협력과 공급망 연계가 중요한 시기라서 전면적인 갈등보다는 일부 품목에 한정한 관세 조정이나 유예 합의 형태로 타협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 문제는 늘 민감하게 다뤄지는 주제라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빠지기 어렵습니다.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강조하는 분위기라 철강 자동차 같은 전통 산업의 세이프가드가 다시 언급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이미 부담이 큰 품목에 추가 압박이 들어오지 않도록 방어하는 게 관건입니다. 동시에 반도체나 배터리 같은 신산업에서는 협력을 강화하자는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협상 과정에서 서로 교환할 카드가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라 결과를 단정하기는 애매합니다. 시장에서는 관세 완화보다는 현 상태 유지 쪽에 무게를 두고 지켜보는 분위기가 강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으로 한국산 제품에 부과 중인 15% 관세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직접 관세 조정을 요청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합의를 고수했다고 합니다.

    이번 정상회담으로 관세 협상은 없었던 것이며, 북한문제, 조선, 방위산업 협력, 집단 안보 등의 의제를 논의했습니다.

    15%의 관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추후 관세 영향을 지켜봐야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정상회담이 있기 전 우리나라와 미국은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게 되었고, 정상회담 과정에서는 대미 투자 등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정상간, 실무진간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관련 내용이 나오고있지는 않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조금 더 발표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정상회담의 분위기 자체는 나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