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뻑뻑해지고 통증이 있는경우에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봐야 하나요?
요즘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피곤한것도 많은데 일하다보면 눈이 뻑뻑해지면서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도 있고 눈에서 통증이 생기는 현상도 있길래 혹시 몰라서 물어봅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말씀하신 눈의 뻑뻑함, 시야 흐려짐, 통증 등의 증상은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볼 수 있는 전형적인 징후입니다. 특히 집중해서 업무를 하거나 디지털 기기를 오래 사용할 때 눈 깜빡임이 줄어들어 눈물막이 불안정해지면서 이러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모니터를 보는 작업환경, 에어컨이나 선풍기의 직접적인 바람, 콘택트렌즈 착용, 수면 부족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는 20분마다 20초간 20피트(약 6미터) 이상 먼 곳을 바라보는 '20-20-20 법칙'을 실천하고, 인공눈물을 사용하며,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안과 검진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눈이 뻑뻑해지면서 시야가 흐릿하고 눈 통증이 있다면 먼저 안구 건조증의 가능성에 대해 안과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합니다.
전자기기를 장시간 쳐다보는 경우 눈 깜박임이 줄며 건조증이 심해질 수 있어 중간에 휴식을 가지며 안구 운동을 하고 인공 눈물을 넣고 어두운 환경에서 밝은 화면을 보는 것도 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하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요즘 눈이 뻑뻑해지고 통증이 느껴져서 고민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눈의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누구나 걱정이 커지기 마련인데요. 이러한 증상들은 종종 안구건조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을 자주 보는 일상에서는 안구건조증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눈 깜빡임 횟수가 감소하거나, 주변 환경이 지나치게 건조할 때 눈의 건조함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피로감이 함께 느껴지는 경우, 눈의 피로가 더해져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충분한 휴식과 함께 인공눈물을 사용하여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개선되지 않거나 증상이 심해진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더 자세한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안구건조증 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눈이 뻑뻑하고 통증이 느껴지며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은 안구건조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눈의 보호막 역할을 하는 눈물의 분비가 부족하거나 눈물이 제대로 분포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눈이 건조하고 불편한 느낌을 주며, 종종 시야가 흐려지거나 피로감을 느끼게 되죠
특히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눈을 자주 깜박이지 않아 눈물이 제대로 분배되지 않으면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피로도 안구건조증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피로가 쌓이거나 잠이 부족할 경우, 눈이 충분히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눈의 건조감과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요
또한, 건조한 환경이나 공기 중 습도가 낮을 때도 눈의 건조증상이 악화될 수 있구요. 이러한 환경에서 오랫동안 눈을 사용하는 경우, 안구건조증 증상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이 증상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줄 경우, 안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으며, 인공눈물이나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요
눈을 자주 깜박이거나, 작업 중 20분마다 눈을 쉬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