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피 색깔은 어떤 색인가요??
사혈이라고 더러운 피를 한의원에서 뽑아냅니다.
이번에 2번째 받아봤고요
피 뽑아낸거 양을 보니까 대략.. 30ml?
다른곳보다 더 많이 뽑아준다 얘기를 하고
피가 검은색 뭉텅이? 휴지에 닦여 쌓여진걸 보니까 빨간색 넓게 퍼진거 가운데에 마치 지렁이처럼 굳은 검은색 선지가 보이더군요
그리고 이 검은색 피가 더러운거고 휴지 끝에 분홍색 피가 맑은거라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확실한건지 어떤건지 의문도 들고....
헌혈을 여태 60번 가량 해보며 봤던 색이랑도 다르고...
여러 의사분들의 의견을 알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피를 뽑은 부위는 등입니다.
맑은 피의 색은 어떤 색이 맞는건가요??
사혈치료라고 하여서 더러운 피를 뺀다는 이상한 치료법의 의학적인 근거는 따로 있지 않습니다.
혈액은 산소가 어느 정도로 포화가 되어있는지에 따라서 붉은 색을 띄기도 하고 어둡게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공기에 노출이 되면 산화 반응으로 인하여 검은색으로도 보입니다.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것은 되도록이면 멀리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이렇게까지 말씀드려도 될까 싶지만 사혈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피가 거무튀튀하게 보이는 것은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산소가 차단된 정맥혈을 뽑아내면 그렇게 보입니다. 뽑아낸 혈액이 몸에 필요없는 혈액이라는 것도 주장일 뿐 근거는 없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정맥절개술 (사혈로 많이 알려져 있죠)은 일부 질환에서는 근거가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정맥절개술이 만능치료처럼 여겨지던 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부 질환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근거가 있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를 위하여 사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의학적으로 맞는 설명은 아니며, 한의학 관점의 사혈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도 부족합니다. 피색깔 자체로 건강의 정도나 질병의 유무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정맥혈이 검붉은 것은 정상적인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