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풍족한개132
풍족한개132

일관적이지 않은 양육태도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일관적이지 않은 양육태도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아이에게,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 같은데, 자존감도 낮아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일관적이지 못한 양육태도는 아이를 혼란스럽게 하며

    정서적으로 불안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일관적이고 자율성 있는 분위기 속에서 자란 아이에 비해 자존감도 낮아질 수 있겠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일관적이지 않은 양육 태도는 아이에게 혼란을 야기 합니다.

    즉, 오늘은 이건 하지 않아도 돼, 내일은 왜 이것은 하지 않았니 라는 오락가락 양육 태도를 아이에게 비친다면

    아이는 이것을 하라는 말인지, 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인지에 대한 의미를 정확히 해석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할지도 모를 것입니다.

    그렇기에 단호함이 필요로 하는 이유는 되는 것과 안되는 것,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 해도 되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명확히 인지시켜 주기 위함 입니다.

    아이는 이러한 것들을 제대로 인지하고, 반복된 실수를 하지 않으려고 할 것 입니다.

    더나아가 아이의 자존감의 형성은 부모님과 안정된 애착이 형성이 되어야 하고, 부모님의 적극적인 지지와 긍정적인 메세지를 아이에게 전달해 준다면 아이의 자존감을 향상 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관적이지 않은 양육태도는 아이에게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모의 규칙이나 기대가 자주 바뀌면 아이는 안정감을 느끼지 못하고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아이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이해하지 못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자아 존중감과 자아 인식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예측하기 어렵게 되어,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적 기술이 부족해지고, 친구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결국, 일관성이 결여된 양육은 아이의 자아 존중감과 정서적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는 성격 형성과 대인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가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아이가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자아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관적이지않은 양육태도는 아이가 혼란스러워하고 어디에 맞출지 몰게됩니다 그러니 일관된 양육태도를 가져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