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금리인하는 언제쯤일까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고물가 고금리 시대를 현재 살아가고있는데요
오를때로 오른 금리는 언제쯤 안정화될까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금리인하는 미국의 금리인하가 진행된 이후에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이 다음주에 FOMC회의를 통하여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정하게 되면 윤곽이 나올 것이며
대략적으로 우리나라 금리 인하는 올해 10~11월쯤으로 보고 있습니다.
만약에 올해 미국의 금리인하가 없다면 우리나라도 올해까지도 고금리를 유지하게 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결국 우리나라의 대외 의존도가 높은 경제의 특성상 글로벌 기축통화국인 미국 연준(Fed)이 금리 인하 스탠스를 취해줘야 금리 인하가 가능할 것이므로, 적어도 올 하반기는 되어야 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매번 상황이 바뀌기는 한데 미국이 지금 9월에 첫 인하 하냐 마냐 못하고 11월에 하냐 마냐, 연내에 한번 하냐마냐 하고 있습니다. 못한다고 보는 입장도 나오고 있구요.
그럼 대략 미국이 올해 내에 1번한다고 하면, 우리나라는 내년 초에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제 생각에는 미국하고의 금리차도 있기 때문에 미국이 한번 금리 인하 했다고해서 우리가 바로 따라 내리지는 못할거 같습니다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다른 해외에서 금리를 인상시킬 때 계속해서 동결을 했습니다. 즉, 다른나라의 금리가 6&,7%로 갈 때 우리는 계속해서 3.5%로 이자를 동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다른 나라에서 이제는 금리 인하 시그널이 나오고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금리를 올릴 때 같이 올리지 않았으므로 아직 금리 인하를 하기 위해서는 아직 한참 남았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금리의 인하는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와 맞물려 움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의 경제 지표들이 인플레이션을 극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늦으면 이번년 말쯤 부터 금리의 인하가 이뤄지고 내년부터는 우리나라의 금리도 서서히 내려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금리인하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에 대해서 최근 한국은행장의 인터뷰에 따르면
물가 상승률이 2퍼센트 초반을 기록하면 고려해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일본처럼 제로금리까지는 아니어도 저소득층을 위해 내려주면 좋을텐데요, 물가가 잡히지도 않는것을 안다면, 부자들이 더 혜택을 보려고 끄는 것일까요 ? 미국핑계대면서, 결국 내년은 지나야겠죠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단독적으로 금리인하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하여야 우리나라도 가능할 것이며 아마 빨라야 올 하반기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금리인하는 정부가 경기 침체기나 둔화기에 대응하기 위해 취하는 중요한 정책 조치 중 하나입니다. 이 조치는 금리를 낮춤으로써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고 경기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양날의 검이기도 합니다. 지나친 금리인하는 화폐 가치를 하락시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통화정책은 한국은행이 독립적으로 결정합니다. 이는 경제 상황에 따라 조절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2023년 7월 13일에 사상 최초로 빅스텝(0.50%P 인상)을 진행했으며, 이후 2023년 10월 12일에도 빅스텝을 이어가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2023년 11월 24일에는 베이비스텝(0.25%P 인상)을 진행하며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 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금리 인하 시기는 경제 상황, 인플레이션, 중앙은행의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유럽중앙은행이 어제 0.25% 금리 인하를 단행하여 미연준도 명분을 얻었습니다. 하반기에 2번 이상 금리 인하가 예상됩니다. 0.5% 정도 하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